•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쟁,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여성 (War, And Japanese Women of Colonial Jos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2.09
32P 미리보기
전쟁,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콘텐츠연구 / 41호 / 279 ~ 310페이지
    · 저자명 : 임회록

    초록

    이 글은 재조(在朝)일본인 여성들이 대동아전쟁이라는 총동원체제아래 어떠한 방식으로 국가에 호명되고 이용되는지 식민지 시기 조선에서 생산 된 문학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글이다. 조선에 살았던 일본인 여성이 당시의 문학 속에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지를 통해 식민지 조선인들이 그녀 들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제국 일본은 그녀들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했는 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조 일본인 여성들이 조선에 등장하는 것 은 일본제국의 팽창과 맥락을 같이하는데, 식민지 조선에 일본인 여성들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76년 ‘조일수호조규’에 의해 부산항이 개항하면서 부터 이다. 이후 일본 내의 조선이민장려정책과 1910년 한일합방의 영향으로 조 선에 거주하는 일본인 여성의 수는 증가했다. 조선사회에서 재조 일본인 여성에 대한 인식은 한마디로 “타락한 일본인여성”이었다. 그러다 일본제국이 만주 사변을 비롯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 키며 제국 전체가 전쟁을 위한 총동원체제로 접어들자 조선에 있었던 일본 인 여성들은 한편으로는 내선 결혼의 당사자로 호명되면서 만주개척의 적 임자로 칭송받는다. 내지 일본인 여성들이 “군국의 어머니”의 역할을 요구 받았던 반면 조선의 풍토 때문에 일본남성의 결혼상대로도 꺼려지던 재조 일본인 여성은 조선인과 혼인하여 만주국의 개척자로서 “대륙의 신부”로 역할을 다할 것을 요구받았다. 한편 채만식, 이효석, 한설야 등의 소설 속에서 재조 일본인 여성들은 똑똑하고 학식이 높으며, 한편으로는 조선인 남성의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리하여 학식 있고 예의바르며 아름다운 일본인 여성은 내선결혼의 적임자로 묘사되고 식민지 남성들은 이 내선결혼을 통해 2등 국민이라는 지위에서 벗어나 1등 국민이 되는, 그래서 민족적 차별로부터 벗어나는 하나의 방편으로 생각한 것이다. 즉, 일본제국은 만주사변과 대동아전쟁을 치르면서 인적 물적 자원이 부족해진 일제는 내선일체를 이루기 위한 형식 중의 하나인 내선결혼을 통해 충실한 황군 병사를 구하려 하였고, 식민지 조선의 남성들은 일본 여성과의내선 결혼을 통해 신분상승을 꿈꾸었던 것이다. 조선남성에게 내선결혼은 ‘제국의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었고, 또한 피지배자의위치에서 벗어나 세계를 지배하는 민족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Imperial Japan began a war that, objectively, could not be beaten. As the war intensifies, Japan suffers from a shortag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colonies under the Japanese imperial rule, all supplies and people were mobilized. It was important to mobilize a lot of this mobilization, but I also tried to mobilize loyal people. Qualitative mobilization means that even Koreans who were not given the status of “national people” were targeted for mobilization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ire and the people of the colony. The form of mobilization must be voluntary andcovertly manipulated. Even before the Manchurian Incident, the Japanese imperialism put the image of a “fallen Japanese woman” on a Japanese woman living in colonial Joseon and placed it in the status of a non-national. However, after the war turned into an all-out war, the “female salaries” that were excluded are summoned as people and used as human resources. In other words, it is not a method of excluding women's wages, but by injecting excessive sexuality of ‘beautiful women’ to stimulate the desires of colonial Joseon men, and to take them back into war society and use them as human resources. The Japanese Empire wanted to use Joseon as a continental logistics base.
    And the Japanese wanted to recruit Korean men as soldiers. Furthermore, the Japanese wanted to use it as a manpower to pioneer Manchuria. To do so, marriag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was important. Amidst this, Japanese women who lived in Joseon suffered double discrimination. In the Japanese Empire,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for being a “colonial woman” living in colonial Joseon. And in Joseon, the privilege of being a “colonial person” was discriminated against as Japanese men did not enjoy. Moreover, the positions of Japanese women who lived in Joseon, who belonged to the lower class, were located below the Korean men. In other words, Japanese men of the Japanese Empire wanted to have Koreanmale soldiers by sacrificing Japanese women who lived in colonial Joseon. And, by marrying Japanese women in colonial Joseon, men tried to restore the “subject” of colonial men along with “citizenship”. Amidst this, Japanesewomen who lived in Joseon were forced to sacrif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