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결사, 은둔, 그리고 출가의 문제 (The Issues of Society, Seclusion, and Renunciation - Focusing on Bojo Chinul’s Junghaegyŏlsa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03
39P 미리보기
결사, 은둔, 그리고 출가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7호 / 400 ~ 438페이지
    · 저자명 : 김호성

    초록

    근래 지난 사반세기에 걸친 나의 결사연구를 집대성하여 『결사, 근현대 한국불교의 몸부림』이라는 책을 상재(上梓)하였다. 그러면서 서평회(書評會)를 가졌다. 서평위원들로부터 전문적인 비평이 있었고, 청중들로부터도 많은 질의가 있었다. 이를 통해서 내가 느낀 것은, 아직 “결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다시 제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결사에 대한 정의에 대한 공감이 있었다고 한다면, 많은 의혹은 사전에 해소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내가 결사를 바라보는 데 문법(文法)을 제공해 준, 보조지눌의 정혜결사를 다시 살펴볼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물론, 이미 정혜결사에 대한 논문이 『결사, 근현대 한국불교의 몸부림』 속에 수록되어 있었다. 그것은 정혜결사를 윤리적 차원의 결사라는 점을 부각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 그런데 결사를 은둔이라고 보는 나의 관점에 대한 비판에 대답하기 위하여, 나는 보조지눌의 정혜결사가 곧 은둔이라는 점을 그의 『정혜결사문』의 서분(序分)과 유통분(流通分)을 분석함으로써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은둔에는 공간적 차원의 은둔만이 아니라 탈권력(脫權力)적 차원의 은둔 역시 있다는 점을 『삼국유사』의 피은(避隱)과 대비하면서 설명하였다. 결국, 결사가 은둔이며 탈권력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실제로 그것은 바로 고타마 붓다가 보여주었던 출가정신을 다시금 회복하자는 운동이었음을 다시 한 번 더 분명히 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 published a book titled The Society: Struggle of the Modern Buddhism by compiling my own research of society which extend over the last quarter of a century. After that, I held a book conference. The book review critics expressed their professional criticisms and the audience enquired various questions. Through this conference, I realized the need to raise the question "What is society?" again. Since that if the comprehension toward society's definition had existed, arising suspicions would have be resolved in advance.
    This is why I realized the need to look over Bojo Chinul's Junghaegyŏlsa(Samadhi and Prajna Community) again who provided me the milestone in looking at society. Of course, an article about Junghaegyŏlsa is included in The Society: Struggle of the Modern Buddhism. It is focused on magnifying Junghaegyŏlsa as the society on the ethical level. However, I tried to clarify that Bojo Chinul's Junghaegyŏlsa is seclusion in order to answer to the criticism toward his viewpoint by analyzing both introduction and conclusion of Junghaegyulsamun (The Compact of the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In addition, I provided the explanation that not only spatial dimension of seclusion but also post- authoritative seclusion exist in seclusion by making comparisons with Pi Eun(seclusion;避隱) of Samgukyusa. Eventually, when comprehending that society is seclusion and post-authority, the fact that it was a movement which tried to recover the renunciation spirit shown by Gautama Buddha was once again clar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