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유신, 그리고 냉전체제 (The US, Yushin, and the Cold Wa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3.11
40P 미리보기
미국, 유신, 그리고 냉전체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사연구 / 38권 / 151 ~ 190페이지
    · 저자명 : 김정배

    초록

    1970년대 초 동북아 냉전해체기에 박정희는 강대국들 사이의 긴장완화 과정에서 약소국이 희생될 수 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남북통일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유신을 단행했다. 이미 비상대권을 갖고 있는 현직 대통령이 헌정을 유린하면서까지 그렇게 해야만 했던 진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박정희는 중미화해 이후 제공된 한반도의 구조적 안정성에 적극적으로 조응할 수 없었다. 닉슨독트린과 중미화해는 미국과 중국의 근본적인 정책전환이었으며 동북아 냉전구조의 해체를 의미했다. 한반도에서 안보안정성이 담보될 수 있는 구조적 여건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박정희정권은 이러한 변화된 안보환경에 안보위기 강조와 남북대화 추진으로 대응했다. 1971년 12월 국가비상사태 선언과 7.4남북공동선언이 그것이었다. 박정희는 한편으로는 북한의 위협을 과장하여 내부 통제를 강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북한과의 대화와 통일을 추구하는 모순적인 모습을 보였다. 미국은 독재를 우려하면서도 남북대화를 적극 지지했다. 국가안보의 측면에서 보면 박정희정권은 미국의 정책과 궤를 같이 해야 했다. 그러나 박정희는 미국의 반발은 물론이고 국내외의 비판을 감수하면서까지 그렇게 하지 않았다. 박정희에게는 국가안보보다 더 우선적인 것이 정권안보였기 때문이다. 박정희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한반도의 긴장완화는 치명적일 수 있었다. 그동안 취약한 정권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수단이었던 냉전 담론과 북한 위협은 중미화해와 남북대화로 인해 더 이상 먹혀들지 않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박정희의 내부통제 강화와 남북대화 추진은 정권의 태생적 속성과 시대의 변화에 편승해야 하는 딜레마를 반영했다. 박정희는 남북대화가 진전되고 미국의 새로운 정책이 적극 추진된다면 정권이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보았다. 미국은 조만간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고, 유엔사령부를 해체하고, 냉전적 외교를 접을 것이다. 그리 되면 국내에서 민주화와 통일의 요구는 더욱 거세질 것이고 결국 정권 자체가 위태롭게 될 것이다. 박정희로서는 예상되는 정권의 위기에 대응하는 유일한 방법은 대통령선거제도를 바꾸는 것뿐이었다. 그러한 박정희의 선택은 무엇보다 이미 파인 미국과의 불신의 골을 더욱 깊게 했다. 박정희정부와 미국 사이의 불신은 특히 박정희의 북진 가능성과 독재에 근거했다. 박정희정부는 협상이나 압력의 수단으로 북진을 종종 언급했다. 게다가 유신은 한반도의 구조적 안정을 목적으로 삼은 미국의 정책과 정면으로 배치되었다. 미국은 국익을 위해 유신체제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박정희에 대한 불신은 쉽게 해소될 수 없었다.
    박정희는 영구집권체제를 수립해야만 위기에 처한 국가를 지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유신은 국가안보위기가 아니라 정권위기에 대한 지극히 사적인 대응이었다. 그것이 태생적 한계에 묶인 박정희정권에게는 유일한 길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n the terms of the Cold War history the background and reasons of October Revitalization by president Park Chung He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k failed to correspond to the structural stability of military-political situations provided on the Korean peninsular in the wake of Sino-American Rapprochement at the beginning of the 1970s. He correctly perceived that Kim Ill Sung was not want a war for reunification. But, what Park afraid of was the growing detente mood and the desires of peaceful reunification that could lead to the collapse of his power, not North Korea’s military threats itself. Notwithstanding repeatedly American security commitment to the South Korea, The US pondered over the problem of treating the North Korea as a inevitable fact of life on premise that Korea is no longer the frontier for East-West confrontation. If South-North talks would favorably progress and American new policies carry out, Park and his followers would faced dangerous situation, because of lost of effective rule instruments, the Cold War ideology and the North Korea’s military threats. Therefore, Park decided to establish authoritarian rule system that would preserve eternally his presidency, under the mask of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mother country. Park, of course, anticipated critics and resistances from the US and other countries as well as many of Korean peoples. But Park had to force, at all costs, some necessary measures.
    In a word, Yushin was essentially Park’s highly personal and unwise measures to establish eternally a one-man-rule under the pretext of peaceful reunification, not to ensure national secu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