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능력과 스킬 그리고 역량의 차이 : ‘토끼와 거북이’ 그리고 스포츠 스타 선수들 예시 적용 (What are the Difference Among Ability, Competence and Skil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2.03
30P 미리보기
능력과 스킬 그리고 역량의 차이 : ‘토끼와 거북이’ 그리고 스포츠 스타 선수들 예시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적자원개발연구 / 25권 / 1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이춘우

    초록

    인적자원개발과 연구를 위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능력과 스킬, 역량이 명확히 정의될 필요가 있음에도, 많은 사람들이 구분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국내 민간 기업부문과 공공부문 현장에서 NCS와 같은 역량평가제도를 도입하였음에도 기존 근무평정제도의 관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은 능력, 스킬, 역량이 개념적, 용례상 어떤 차이와 관계가 있는지를 일반 임직원들이나 인사담당자, 컨설턴트들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학계 연구자들이 능력과 역량의 차이를 심도깊이 고찰한 연구도 찾아보기 힘들다. 그동안 학술 연구들은 역량을 ‘고성과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고성과자들이 표출하는 행동특징들’로 정의하여 왔다. 이러한 정의는 고성과자들이 표출하는 역량이 고성과를 산출한다는 동어반복(tautology)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역량은 고성과자들에게서만 관찰되는 것이 아니라 저성과자나 고성과자 모두에게서 관찰되는 것으로, ‘고성과자들만의 개인적인 내재적 특징’이나 ‘고성과를 창출하는 요인’으로 정의해서는 안된다. 본 연구는 능력(ability), 역량(competency), 스킬(skill)의 정의와 개념적인 관계를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특히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 및 스포츠 스타 선수들을 통해 역량과 능력, 스킬의 차이를 구분하는 예시 방법을 활용하여 명료화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능력’은 그 자체의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개념이며 ‘역량’은 능력 요인들과 비능력 요인들을 포함하는 다발(set or bundle)의 개념으로 직무내용이나 직무수행상황 그리고 성과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직무별 역량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역량 및 역량모델의 새로운 개념적 지평확장 가능성으로 경제적 성과창출 결정요인으로서뿐만 아니라 전인적 인간의 양성을 위한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토론하였다.

    영어초록

    Studying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 developing, fostering and managing human resource, it will be possible only if the abilities(capabilities) and competencies, which are the cor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management, are clearly defined and understood. But, most of HR managers, consultants and organizational staffs have confused on the concept of the ability, skill and competence. It is the reality that many people do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ability and competence,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rms ability and competence is clearly discussed. Although the domestic private enterprise sector and the public sector have introduced competency evaluation systems such as ability evaluation system and NCS, they do not deviate from the existing ability-attitude centered work evaluation system. In the meantime, the academic studies have defined competency as ‘the behavior expressed by high performers commonly found in high performers’. You make mistakes of tautology of a causal variable that the characteristics you create high performance. Therefor competence-based HR system are not operating effectively. The competencies need not be defined as ‘personal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ers’ or ‘factors that create high performance’ Competence, like competence, needs to be understood as a factor observed in both low and high performers, not necessarily characteristics observed only in high performers. This paper clarify the concept of the ability, skill and competence through the story of ‘the Rabbit and Turtle’ and sports stars such as Kim Yuna, Yang Hak-Sun etc. Also this paper try to manifest the relations of the ability, skill and compe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적자원개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