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梨花에 月白하고>의 의미 재검토 - “아라마난"을 “알건만”으로 해독한 견해에 의거하여- (Reexamining the Meaning of the Sijo "Ewhae WolBaek Hago(梨花에 月白하고)" - Based on the view that "aramanan(아라마난) " is best interpreted as "algeonman(알건만)"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11
24P 미리보기
&lt;梨花에 月白하고&gt;의 의미 재검토 - “아라마난&quot;을 “알건만”으로 해독한 견해에 의거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43권 / 221 ~ 244페이지
    · 저자명 : 임재욱

    초록

    이 논문은 <梨花에 月白ᄒᆞ고>의 의미를 “아라마ᄂᆞᆫ”의 정확한 해독에 근거하여 다시 검토한 글이다. 지금까지 이 작품의 중장에 포함된 구절 “아라마ᄂᆞᆫ”은 ‘알랴마는’으로 풀이되어 왔지만, 정확한 어학적 해석에 따르면 ‘알건만’으로 풀이되어야 한다. 이 구절을 그렇게 풀이하면 이 작품의 나머지 구절도 거기에 맞추어 새롭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一枝 春心”의 “春心”은 사전적으로 ① ‘남녀 간의 정욕’(戀情) 또는 ② ‘봄의 정취’(자연친화적 정서)의 뜻을 지니는데, 그 앞의 시어인 “一枝”가 초장에 나오는 “梨花”의 ‘한 나뭇가지’를 뜻하는 것으로 보면, “春心”의 의미는 자연스럽게 ‘봄의 정취’로 귀결된다.
    이 작품의 중장을 “一枝春心을 子規야 알건만”으로 풀이하면, ‘알건만’ 뒤에는 ‘나는 모른다네.’가 생략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 중장 전체는 “자규”는 잘 알고 있는 “춘심”을 화자는 모르고 있다는 뜻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그에 따라 종장의 “多情”은 중장의 “일지춘심”과는 다른 정서인 ‘戀情’으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된다. 그렇게 보면,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황조가>나 <동동> 등에 나타나고 있는 “春來不似春”의 심정을 표현한 사랑의 노래로 읽힌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子規”, “多情도”의 “도”, “病인 양”의 “양”과 같은 시어들은 다양한 시적 기능과 함축적 의미를 지닌다. “子規”는, 작품의 시상이 초장의 경물에서 종장의 순수 정서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도록 하는 과도적 혹은 경과적 연결 장치요, 경물과 시적 자아의 순수 정서가 대비될 때 올 수 있는 정서적 충격을 완화하는 시적 장치, 곧 일종의 완충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多情도”의 “도”는 “자규”와 자아의 동병상련의 상황 혹은 물아일체의 경지를 말하는 동시에, “자규”와 자아가 함께 걸려 있는 “病”의 원인이 ‘자연 사랑’과 “多情”(‘戀情’)으로 서로 다르다는 뜻을 함축하기도 한다. “病인 양”의 “양” 또한 ‘겸양과 역설’, ‘차별’, ‘정서 조절’과 같은 몇 가지 섬세한 의미나 기능을 내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작품의 정서는, 자연의 아름다움만이 표현된 무정한 상태(초장)에서 봄밤의 흥취에 젖은 자규의 유정한 상태(중장)로 옮아갔다가, 그리움과 애절함에 잠 못 이루는 화자의 다정한 상태(종장)로 흘러가, 점차 심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간다. 이와 같은 이 작품의 시상 전개 방식은 선경후정의 이분법적 구도를 3장 구성의 시조 형식에 맞추어 매우 세련된 양식으로 변화시킨 것이라고 할 만하다.
    이 작품을 수록하고 있는 다양한 가집을 두루 검토해 보면, 『병와가곡집』 이후로 1) 작자 표지가 없고, 중장 마지막 어구가 “아라마ᄂᆞᆫ”이나 “알건마ᄂᆞᆫ” 표기되었으며, 閨情․相思․離恨 등을 표현한 사랑의 노래로 이해되었던 유형과 2) 작자가 이조년으로 표기되고, 중장 마지막 어구가 “알냐마ᄂᆞᆫ”으로 표기되었으며, 자연 친화적 사상(煙霞痼疾, 泉石膏肓)이나 ‘忠’과 같은 남성적 정서를 노래한 작품으로 인신되었던 유형의 두 가지 작품군이 공존하다가, 19세기 후반의 『가곡원류』(1876) 이후로는 후자가 주류를 차지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이 작품은, 물아일체를 표현하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는 점, 함축과 생략을 다양하게 구사하여 섬세한 정서를 미묘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점, 그렇기 때문에 매우 다층적이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 애정의 감정을 매우 절제된 방식으로 우아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점, 선경후정이라는 전통적 시상 전개 방식을 시조 양식에 적합한 3단 전개의 양식으로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점 등에서 매우 수준 높은 형상화 기법을 구사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reexamination of the correct decoding of “aramanan(아라마ᄂᆞᆫ)” in “Ewhae WolBaek Hago.” So far, the word “aramanan(아라마ᄂᆞᆫ)” in this work’s second line has been interpreted as “alyaman(알랴만).” This would mean he does not know. However, the correct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this word is “algeonman(알건만),” which means he does know. If we interpret this word this way, the rest of this work needs to be reinterpreted accordingly.
    The phrase “spring mind(春心)” in “one branch spring mind(一枝春心)” refers to either the lust between men and women or the mood of spring (a friendly, natural feeling). The meaning of “spring mind(春心)” naturally results in the reading “the mood of spring,”while the “one branch(一枝),” which is in front of it, refers to “a branch of” a “pear tree(梨花)”.
    If the second line of this work is interpreted as “the scops owl knows the mood of spring but,”it is assumed that “I do not know” is omitted after “aramanan(아라마ᄂᆞᆫ).” Thus, the whole of the second line expresses that the speaker does not know the “mood of spring” that the scops owl knows well. As a result, it becomes natural to understand the “affection(多情)” of the third line as “the heart of lo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ood of spring (春心).” As a result, this work is read as a song of love, expressing that “Spring is here, but it is not like spring,” a sentiment that appears in <Hwangjoga(黃鳥歌)> and <Dongdong(動動)> as well.
    There are many words in this poem that have various poetic functions and implications. These include: “jagyu” (‘子規’, which means ‘scops owl'); the postposition “do”(‘도’, which means ‘as well') in “dajeongdo”(‘多情도’, which means ‘affection as well’); and “yang”(‘양’, which means ‘like’) in “byeogin yang” (‘炳인 양’, which means ‘like sickness’).
    The emotion of this work becomes more profound as it goes on. First, it moves from a heartless state expressing only the beauty of nature to the emotional experience of a scops owl singing on a spring night, and then flows to the affectionate state of the speaker who cannot sleep because of his sadness and longing for his lover. It is worth saying that the way to spread this work’s ideas is to change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the “seongyeonghujeong”(先景後情) into a very sophisticated style, that of the three-line form of the Sijo(時調).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