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초 최천벽(崔天璧, 1640~1713)의 『천동상위고(天東象緯考)』 연구 (A study on Cheondongsangwigo(天東象緯考) and Choi, cheon-byeok(崔天璧, 1640~1713) in the early eighteenth-centu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12
38P 미리보기
18세기 초 최천벽(崔天璧, 1640~1713)의 『천동상위고(天東象緯考)』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1호 / 365 ~ 402페이지
    · 저자명 : 경석현

    초록

    『천동상위고』는 숙종 34년 천문학겸교수 최천벽이 쓴 고려시기의 재이 기록 문헌으로 18세기 초 조선 지식인의 ‘재이로 본 고려사’라 할 수 있다. 『천동상위고』는 18권 8책 분량에 64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재이 기사는 총 1,456건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천(권1), 지(권2), 일(권3‧4), 월(권5), 월‧오행‧3원28수(권6~13), 혜성(권14), 유성(권15~17), 잡변(권18)에 관한 재이가 있다. 본문은 재이 기사로 이뤄진 부분과 재이의 점성적 의미를 소개하는 부분으로 나뉜다. 특히, 재이 기사는 재이-점왈-응험의 구조로 실려 있는데, “언제 어떤 재이가 있었는데 이것은 어떤 의미였으며 이로 인해서 어떤 사건[응험]이 일어났다” 정도로 풀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사모응의 천인감응론적 재이 해석은 한 대에 등장한 것으로 북송 대에 이미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18세기 초 조선에서 다시금 등장하게 된 데에는 그럴만한 사연이 있었다. 최천벽은 재이와 응험의 유기적 사유를 전통적인 천인감응론이 아닌 『주역』의 ‘관상완사(觀象玩辭)’에 입각해 인식했다. 『주역』이 상(象)과 사(辭)로 가득하지만 본의는 하나의 상과 사에 집착하거나 얽매이지 말고 그것이 변화하는 이치를 살펴 매사에 알맞은 처신을 할 수 있게 끊임없이 궁리하라는 것이고, 이것이 바로 관상완사의 의미였다. 아마도 재이 보기를 『주역』의 괘상 보듯 하고 응험을 마치 괘사처럼 여겨, 재이와 응험의 역사적 변천을 통해 현실 정치를 돌아보고 미래를 대비하라는 요청에서 『천동상위고』를 작성했던 것이 아닐까 한다.

    영어초록

    Cheondongsangwigo(天東象緯考) is written by Choi, cheon-byeok(崔天璧) in 1708(King Sukjong 34), which is the Joseon Dynasty(朝鮮) intellectual's the History of Koryo(高麗史) with the portents. Cheondongsangwigo is a 18-volumed work, 8 books, 64 details, and 1456 articles which are the stories about the portents. The main portent's articles are written on volume 1 (the sky), volume 2 (the earth), volume 3‧4(the sum), volume 5 (the moon), volume 6-13 (the moon, the five-element stars, the 3 enclosures and 28 lunar mansions system), volume 14 (the comet), volume 15-17 (the meteor), volume 18 (etc). The body of the books is composed of the portent's articles and the meaning of the portents.
    Particularly, the portent's article is mentioned the portents(災異), a short meaning of the portents(占曰), and the events(應驗) which are regarded to appear because of the portents in order. Those articles inform when the portent happened, the meaning of the portent, and the outcome of the portent.
    This interpretation of portent,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appeared during the Han Dynasty, it was already criticized in Northern Song Dynasty. But there's a reason for that this theory was back in the early 18th century Joseon Dynasty. Choi, cheon-byeok took cognizance of organic thought based on GwanSangWanSa(觀象玩辭) in the Book of Changes(周易) instead of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天人感應論). The Book of Changes is filled with Sang(象) and Sa(辭), but real intention means do not obsess about the one of Sang and Sa. It means study the changing so that it makes a person to make their good behavior in everything as constantly thought(窮理). It is exactly what GwanSangWanSa means. The portent is regarded as the Book of Changes‘s trigram(卦象), and the event is considered as trigram explanation(卦辭), so that Cheondongsangwigo has caused people to look back on realistic politics through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portents and 응험. The motivation of making this books is probably to prepare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