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의 변려문과 역사성 -사적사(事蹟詞)를 중심으로- (Pianliwen(騈儷文) and Historical features of the Mugyungjipmungo(無竟集文稿))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8.04
30P 미리보기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의 변려문과 역사성 -사적사(事蹟詞)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62호 / 195 ~ 224페이지
    · 저자명 : 이대형

    초록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전반기에 남쪽에서 활동한 승려 무경은 문장이 마음을 보존하고 살피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적극적인 가치를 부여하였다. 문장 내용 면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중시하는 점이 특징이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관심은 『무경집문고』에 특유하게 보이는 ‘사적사(事蹟詞)’ 양식에서 두드러진다. 내용은 대체로 기(記)와 동일한데 ‘~기’라고 하지 않고 ‘~사적사’라고 한 것은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다른 승려들이 쓴 글 중에 ‘사적(事蹟)’과 관련된 글들을 보면 대개 변려문으로 되어 있지는 않다. 사찰에 대한 역사적 관심은 18세기를 전후로 하여 일반적 성향이 되었고 무경은 설암추붕(雪巖秋鵬)에 이어 그러한 흐름을 선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무경집문고』는 대구 표현이 빈번하게 보이며 특히 사적사의 경우는 글 전체가 대구로 이루어져 있는 글이 많다. 무경은 변려문을 지으면서 남조(南朝) 제나라의 왕좌(王屮)나 당나라 왕발(王勃), 그리고 최치원의 글을 자주 활용하였다. 왕좌의 글은 다른 승려의 문집에서 쉽게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무경의 넓은 독서 범주를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uddhist monk Mugyung Jasu(無竟子秀), who lived in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in the south of Joseon, gave positive values to literary which help to preserve and examine the spirit. The contents of his literary are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historical facts. Interest in historical facts is highlighted in the style of ‘sajeoksa(事蹟詞)’ that is unique to Mugyungjipmungo(無竟集文稿). Much of the content is the same as the ki(記), but the title ‘~sajeoksa’ rather than ‘~ki’ is meant to stress historical facts. Other monks in Joseon didn't write on historical facts by pianliwen(騈儷文). The historical interest in the temple became prevalent in the 18th century, and Mugyung is believed to have led the trend following Seolam Chubung(雪巖秋鵬). Mugyungjipmungo has a lot of expressions of distich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sajeoksa, many writings are composed entirely of distich. Mugyung frequently used the writings of Wang Jwa(王屮) and Wang Bal(王勃), and Choi Chiwon(崔致遠) when he wrote the pianliwen. From the fact that the writings of Wangjwa can not be easily found in the writings of other monks, we can assume the wide reading category of Mugy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