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생활』의 기독교 담론 재독(2) - 기독교계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Rereading the Christian Discourse of "New Life" (2) - focusing on the Christian Community Controvers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02
26P 미리보기
『신생활』의 기독교 담론 재독(2) - 기독교계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4권 / 1호 / 163 ~ 188페이지
    · 저자명 : 정한나

    초록

    이 논문은 김명식의 「김익두의 미망을 논하고 기독교도의 각성을 촉(促)하노라」(『신생활』 제6호) 발표 이후 기독교계와『신생활』 사이에서 오간 논전을 분석함으로써 1920년대 초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분기의 과정에서『신생활』의 변곡점에 놓인 매체였음을 보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Ⅱ장은 「김익두의 미망을…」을 향한 반박과 김익두 옹호론을 독해하며 그 문제점을 짚어본다. 『기독신보』의 강제모와 김경하는 기독교의 특수성을 강조하면서 결과적으로 기독교 공동체 외부와의 소통을 기하는 글쓰기에 실패한다. 『매일신보』에 게재된 양하엽의 글은 당대 조선의 기독교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보여주었으나 이 성찰은 결국 김익두의 장점을 부각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그친다. 김익두라는 상징적 인물을 옹호하는 데 주력한 이상의 논자들은 대안적 기독교 담론을 구성해내지 못한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이들의 논리가『신생활』에서 비판, 극복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최상현은 강제모의 글을 논리적으로 반박했을 뿐 아니라, 기독교계를 향한 비기독교인의 비판을 진보된 사회로 향하는 첫걸음으로 인식하고 사상운동의 일환으로서 토론을 독려한다. 유경상은 조선 기독교의 당파성, 사대주의를 비판하고 남녀평등, 평민주의, 노동주의 등이 현재 조선에 필요한 기독교의 진리라 주장한다. 박희도는 김익두를 제거되어야 할 ‘종양’에 비유하는데, 이는 김익두 개인과 조선 기독교 전체를 동일시하는 강제모, 김경하의 논리와 대별된다. 이들의 논의는 김익두 비판과 옹호라는 극단을 넘어 대안적 기독교 담론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때에 『신생활』은 이를 가능케 한 공론장으로 기능했다. 마지막장에서는『신생활』에서 사회주의적 색채가 강화되면서 기독교가 비판의 대상으로 전화하는 장면을 간략히 스케치한다.
    이 논문은『신생활』이 대안적 기독교 담론의 지면이 되었음을 보임으로써 사회주의 잡지로 인식되었던『신생활』에 대한 새로운 독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llustrate that "New Life" was a medium placed at the inflection point during the divergence of socialism and Christianity. In addition, this work analyzes the controversy between the Christian community and "New Life" after the publication of Myung-sik Kim's "Discussing Kim Ik-doo's Delusion and Promoting a Christian Awakening" ("New Life" No. 6).
    Chapter Ⅱ reviews the rebuttal to "Kim Ik-doo's Delusion" and the defense of Kim Ik-doo of Christian Community, and points out the logical limits. In “The Christian Messenger,” Kang Jae-mo and Kim Kyeong-ha emphasized the specificity of Christianity and consequently failed to communicate with non-Christian communities. Yang Ha-yeop's writing in "Maeil Shinbo" critically reflected on the Korean Christianity of the day; however, this reflection ended up highlighting Kim Ik-doo's strengths. These three writers, who focused on defending the symbolic figure of Kim Ik-doo, failed to construct an alternative Christian discourse. Chapter Ⅲ examines the process of the argument being criticized and overcome in "New Life." Choi Sang-hyun not only logically refuted Kang's writing, but also recognized non-Christians' criticism of Christianity as the first step toward a civilized society and encouraged discussion as part of an ideological movement. Yu Gyeong-sang criticized the partisanship and flunkeyism of Korean Christianity and argued that gender equality, the common people, and laborism were the Christian truths needed in Korea. Park Hee-do compared Kim Ik-du to a tumor that must be removed, which departed from the logic that identified Kim Ik-du with the entirety of Korean Christianity. Their discussion surpasses the narrow perspective of criticizing and defending Kim Ik-doo and formed an alternative Christian discourse; "New Life" functioned as a public sphere that made this possible. In the last chapter, as the socialist tone was strengthened in "New Life," the scene where Christianity turned into a target of criticism was briefly sketched out.
    This thesis is significant because it suggests a new reading method for "New Life," which was recognized as a socialist magazine, by illustrating that "New Life" became the site of an alternative Christian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