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釋門家禮抄』 茶毘作法節次에 나타난 無常戒에 대한 小考 (An Inquiry on the Impermanent-Precept in Jhāpeti Rites in 『Sungkmoongarecho(釋門家禮抄)』)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1.12
30P 미리보기
『釋門家禮抄』 茶毘作法節次에 나타난 無常戒에 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0호 / 347 ~ 376페이지
    · 저자명 : 이선이

    초록

    우리나라 다비법 연구는 임진왜란 이전의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18세기 이후로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상장례가 정착된 현재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는 도움이 되나, 고려시대의 다비법을 파악하기에는 어렵다.
    응지의 『오삼란야신학비용(五杉練若新學備用)』(또는 오삼집)은 간경도감(刊經都監)의 판각한 목록에 보이는 조선시대의 다비법이다. 『오삼집』은 950년경에 편집되었으며, 다비법에 관한 준비물과 절차를 설명한다. 특히 조선시대 사찰의 장례법을 기술한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는 이 『오삼집』을 기준으로 삼는다. 다비하기 전에 亡者에게 무상계를 수계함으로서, 다비법이 수행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 준다.
    『석문가례초』의 무상계는 한국불교의 상례인 다비의 연원과 절차를 연구하는데 하나의 기준이 된다. 임진왜란 이후 사회 변화를 적극 수용하려는 불교의 자세는 대중화를 이끌고, 불교의 부흥기를 맞는다. 그리고 의례의 정비는 의식에서 불교적인 요소를 강화한다. 비록 중국의 문헌을 저본으로 삼았지만, 절차와 내용에는 무상계와 같이 한국적인 요소를 수행체계로 받아들이며, 한국적인 염불형식도 함께한다. 무상계에는 한국 선종의 수행체계를 바탕으로 염불법, 참선의 선지 등이 함께 들어 있다. 한국불교의 요소가 녹아 있는 무상계를 바르게 알고 수계의식을 진행하는 것이 바른 다비법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the studies on the Jhāpeti rite of this country is restricted to the era of after 18th century due to the lack of materials in existence published befor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trend of studies is useful to understand the settled Jhāpeti rite of present day but is difficult to grasp the ceremonies of Koryo dynasty.
    Osamranyasinhakbiyong(『五杉練若新學備用』, Osamjip in short) by Eungji is a literature of Jhāpeti rite in Chosun dynasty which title is shown on wood engraved catalogue published by Gangyungdogam(刊經都監). Osamjip was edited in A.D.950 which explains the preparations and processes of Jhāpeti rite. Seokmungaryecho(釋門家禮抄) which describes the funeral rites of Buddhist temple in Chosun dynasty has its foundation on Osamjip, which rite organizes Buddhist practice system by conferring Impermanent Precept to deceased person before carrying out Jhāpeti rite.
    The Impermanent Precept of Sungkmoongarecho provides a standard of study in researching the origin and processes of Jhāpeti rite as a funeral ceremony of Korean Buddhism.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952 it was Buddhist order's attitude to accept constructively the social changes so that it attempts the popularization of order so that it consequently faced the restoration of Buddhism. The reorganization of Buddhist rites was to enrich the resources of Buddhist factors in those funeral rites. Although those attempts were based on Chinese materials, it shows the Koreans unique factors in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ose rites, which accept Impermanent Precept as a way of Buddhist practice and also accept the Korean style of chanting Buddhas. Impermanent Precept maintains the foundation of practice system of Korean Seon along with Chanting Buddha's rite and promoting the spirit of practicing Seon. So it is thought that the right way of carrying out Jhāpeti rite is to understand the purpose and execute the spirit of Precept R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