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5세기 百濟의 中國系 流移民의 수용과 太守號 (A study of the Taishou title (太守號) and the Baekje Chinese emigration policy in the 4th-5th centuri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12
31P 미리보기
4~5세기 百濟의 中國系 流移民의 수용과 太守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2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백길남

    초록

    이 글에서는 태수호를 중심으로 백제의 중국계 유이민에 대한 지배방식을 살펴보았다. 4세기 중국의 정치적․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중국 내륙 및 낙랑․대방군에서는 유력세력(流民帥)을 중심으로 郡 단위 본적지를 공유하는 自衛集團(유이민 집단)이 형성되었다. 중국계 유이민 집단은 혼란한 정세를 피하여 백제로 來投하였다.
    백제는 중국계 유이민 집단의 사회적 구성 및 관습․제도를 묵인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백제가 중국계 유이민 집단의 내투를 유도하면서 보다 많은 유이민을 확보하고자 하였던일종의 타협이었다. 유이민 집단이 계속적으로 내투해옴에 따라 백제는 유이민 수 등을 고려하여 ‘朝鮮郡’과 같은 새로운 군 단위 집단을 만들거나, 지역적 연관성이 있는 여러 군 단위 집단을 모아 하나의 군 단위 집단으로 편제하였다. 군 단위 집단의 태수는 백제의 의도에 따라 선택된 중국계 유민수가 맡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선택된 중국계 유민수와 그의 예속세력은 백제로부터 차등적으로 관등과 관직을 받고 중앙의 관인이 되었다. 또한 중국계 유이민은 본적지(주․군)별 공동체로 구성된 집단 거주지를 유지한 가운데, 군 단위 본적지가 기재되어 編籍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5세기 후반 백제는 대중국 외교에서 공로를 세운 중국계 관인을 특정 군 단위 태수로 사가하고, 해당 군 단위 출신의 호구를 대상으로 설정한 食邑 封戶를 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중국계 유력인사를 통해 중국계 유이민 집단을 통제․관리한다는 백제의 지배방식의 연장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way the existing Baekje society incorporated and governed Chinese emigrants by rewarding them with the "Taishou" title. Due to China's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nomad populations coalesced into groups centralized on influential powers and settled in shared home districts across mainland China and the Nakrang (樂浪) and Daebang (帶方) Districts, submitting to the Baekje dominion throughout the 4th and 5th centuries.
    The Baekje ruled the emigrants by conducting studies of the nomadic populations and designating several counties (gun, 郡) as their homestead territories. Therefore, they made efforts to integrate the nomadic groups by giving them a sense of geographical community and connectivity. Furthermore, in accordance with the Baekje's intentions, the Taishou were often chosen from influential Chinese emigrants (流民帥).
    Afterwards, those influential Chinese emigrants and their subordinates were often granted an official civil rank and mad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Baekje. In the late 5th century, emigrants who made notable contributions to Chinese diplomatic relations were rewarded with the Taishou title and fiefdom within their respective counties. This practice was an extended method for the Baekje to maintain control and dominance over Chinese emigran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fluential figures of Chinese desc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