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 볼가 지역 핀계 민족들의 종교적 환경과 정체성 변화 (Changes in the confessional environment and identity of the Volga Finns of Russi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6
36P 미리보기
러시아 볼가 지역 핀계 민족들의 종교적 환경과 정체성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 수록지 정보 : 한국 시베리아연구 / 25권 / 2호 / 59 ~ 94페이지
    · 저자명 : 김혜진

    초록

    볼가-우랄 지역은 예로부터 여러 종교의 교차로였던 탓에, 이 지역에 살던 토착 민족들의 종교적 환경은 계속 변화했다. 불가르왕국부터 킵차크한국, 카잔한국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은 오랫동안 이슬람의 영향권이었으나, 러시아의 진출과 함께 전개된 기독교화 정책으로 두 종교의 경쟁이 시작됐다. 특히, 토착 신앙을 신봉해왔던 이 지역의 핀계 민족들은 러시아 정교와 타타르인으로 대두되는 이슬람의 전도 대상이었고 양측의 종교적 영향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특히, 러시아 정부는 이들을 문명적으로 뒤떨어진 이교도로 간주하며 더욱 가혹한 수단을 동원하며 정교로의 개종을 강요했다.
    이후 긴 시간 지속된 무신론 체제가 무너지고 ‘종교적 르네상스’가 도래했다. 1990년대는 볼가 지역의 핀계 민족에게 일종의 ‘종교적 탐색기’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종교는 되살아났고, 해외로부터 새로운 종교와 종파가 유입되면서 이들을 둘러싼 종교적 환경은 더욱 다채로워졌다. 그러나 오늘날까지의 상황을 살펴봤을 때, 90년대의 종교적 탐색기는 ‘전통적인’ 종교로의 회귀로 귀착됐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전통적인’ 종교라는 개념이 민족마다 다르게 이해된다는 것이다.
    지리적 위치, 지배국의 교체 및 체제 전환 등과 같은 정치적 환경, 공화국의 경제적 특징(산업화 및 특수산업 양성 등)과 이에 따른 러시아인의 유입, 그리고 그로 인한 민족 비율의 변화, 거주지별 민족적 환경, 문호 개방으로 인한 해외 종교단체의 활동 등 다양한 요인이 볼가 지역 핀계 민족들의 종교적 정체성 형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은 앞으로도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교가 여전히 이들의 종교적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토착 신앙은 현대적인 조건에 맞춰 전승되고 있으며, 세계화에 합류한 이들 민족과 여러 해외 종교와의 조우도 계속될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ancient times, the indigenous peoples of the Volga region have been at the crossroads of various religions and have experienced several changes in their confessional environment: from the time of the Bulgarian kingdom to the period of the Kypchak and Kazan khanates, they were under the influence of Islam, and with the entry of this region into Russia, they became the object of politics Christianization. Especially those Finno-Ugric peoples of the Volga region, who adhered to their linguistic beliefs, were conside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ussian administration to be “uncivilized” and were most persistently subjected to forced Christianization.
    The 1990s, which can be called a period of "religious revival", were characterized by a kind of religious quest: traditional religions revived after long atheistic times, and new religions and sects, especially Protestantism, penetrated from abroad into the territory of the Volga Finns, which did their religious environment is much more diverse than before. Looking at the current situation, we can say that the religious search of the 90s. led to a return to "traditional" religion.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traditional” is understood differently among the Mordovians (Erzya and Moksha), Mari and Udmurts.
    Geographical location, political circumstances (transitions from one political entity to another, changes in political regimes), economic characteristics (industrialization, development of special industries, etc.), the influx of Russians and a change in the proportion of ethnic groups, ethnic environment, the activities of foreign religious organizations influenced religious identity of the Volga Finn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These factors will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e near future. Orthodox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ligious life of the Volga Finns, but at the same time the beliefs of their ancestors are preserved, changing their form in accordance with modern conditions, and also continue to meet with non-traditional religions, since these peoples have already joined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 시베리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