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丈庵石燈系 日本 金銅製燈構施設에 對한 考察 (Compared the BaekJang-Temple's stone lantern in Korea and DongDae-Temple's gilt bronze lantern in Japan)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7.06
52P 미리보기
百丈庵石燈系 日本 金銅製燈構施設에 對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27호 / 527 ~ 578페이지
    · 저자명 : 정명호

    초록

    全羅北道南原市山內面立石里에 所在하고 있는 百丈庵에는 新羅時代 三層石塔을 비롯하여 9世紀初 石燈과 朝鮮時代의 石鐘形 浮屠 數点이 寺內 浮屠밭에 設置되어 있다. 부도밭은 원래 1979년전까지는 百丈寺 法堂을 中心으로 附屬建物이 配置되어 있었으나 火災로인하여 當時에는 이미 일찍이 廢墟化하였던 實相寺로 移轉됨으로서 百丈庵으로 轉落된 庵子이다.
    이곳에는 獨得한 石燈이 있는 곳으로 이 石燈은 日本奈良縣奈良市雜司町에 所在하고 있는 東大寺 大佛殿 앞에 세워져 있는 金銅製八角燈構와 類似한 것으로 이 東大寺 燈構는 奈良時代 A.D.751년에 大佛像과 同時期에 鑄造된 燈構로 알려지고 있다.
    東大寺 등은 韓國의 百丈庵石燈과 渤海文化圈에 속하는 上京龍泉府 石燈을 綜合的인 折衝樣式을 收容한 樣式으로 여겨진다. 즉, 백장암의 燈臺趺와 上京龍泉府 燈構部의 要素를 折衝한 要素를 收容한 東大寺 燈構로 여겨진다.
    百丈庵 石燈의 燈臺趺 蓮華下臺에 附屬된 竿柱받침대인 仰蓮臺의 構造가 東大寺燈構의 蓮華下臺 附設施設의 構造가 같다는 事實이다.
    上京 龍泉府 石燈의 燈構와 東大寺 八角願堂形 木造建築樣式을 模倣한 樣式으로 追從된다.
    東大寺 燈構의 先行되는 作品이 日本內에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으므로 先行要素는 韓國石燈의 影響받어 이루어 진 것으로 여겨진다.
    東大寺燈이 造成된 時期를 A.D.751년 直後로 推定되지만 地震과 兵禍로 인해 심한 被害를 당하여 平安朝末 戰國時代에 더 심한 被害를 당한 緣故로 이 時期를 前後하여 再補强鑄造하였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竿柱에 記錄된 經文 活字體가 平安朝 혹은 鎌倉時代에 使用되었던 活字體로 보는 傾向이 있으므로 참고 삼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東大寺 燈構의 再鑄造한 編年은 大體로 9世紀 中葉으로 推定된다.

    영어초록

    There are including Silla’s three-stories stone pagoda, stone lantern of earlier in 9th century and Chosun’s stone-bell style stupa in BaekJang-small Temple where it is placed in Ipsukri Sannaemyun Namwon city Jeonrabuk province.
    Baekjang-small Temple is a small temple degraded to Baekjang-small Temple where there were originally attached buildings around the main Buddhist hall until 1979 when it moved to SilSang-Temple which was ruined at that time because of a fire.
    A BaekJang-Temple's stone lantern is similar to the gilt bronze octagonal lantern which is placed in front of the great main Buddhist hall in DongDae-Temple in Japan.
    DongDae-Temple's gilt bronze lantern is known as being made at the same time with the great Buddhist statue in the era of Nara in A.D.751.
    DongDae-Temple's gilt bronze lantern is considered to have both styles of BaekJang-Temple's stone lantern in Korea and Bal Hae’s SangKoungyongchunbu's stone lantern. In other words, it is a compromise of the Deungdae-part of BaekJang-Temple's stone lantern and Deungku-part of SangKoungyongchunbu.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structure of the upper lotus flower in the Ganju-supporting stand that is attached to the lower lotus flower stand beneath the Deungdae-part of BaekJang-Temple's stone lantern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lower lotus flower stand of DongDae-Temple's gilt bronze lantern. Second, DongDae-Temple's gilt bronze lantern is presumed to have gone after the wooden made style of the octagonal style of SangKoungyongchunbu's stone lantern. Third, since there has not been no other works before DongDae-Temple's gilt bronze lantern. yet, it is my understanding that the previous important factor would be the influence of Korea’s stone lantern.
    Although, a DongDae-Temple's gilt bronze lantern is estimated to be built right after A.D. 751, DongDae-Temple had been heavily damaged by an earthquake and fire in a battle and it was even more damaged in the era of the war situation. Therefore, it is thought as to the reinforcement work and casting around this time, however, the written style in the Ganju is estimated to have been used during Heian era which means we can estimate that the approximate time when DongDae-Temple's gilt bronze lantern was rebuilt should be around the mid of 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