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타이완 세딕민족 한글 서사체계 활용의 어휘 기반 연구 (A Study of the Vocabulary Base for Utilization of Hangeul Writing Systems by Sediq People in Taiwan)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9
61P 미리보기
타이완 세딕민족 한글 서사체계 활용의 어휘 기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77호 / 209 ~ 269페이지
    · 저자명 : 전광진

    초록

    본 연구의 첫째 목적은 세딕민족 한글서사체계 활용에 필요한 어휘 기반을 다지기 위하여 해당 언어의 기초어휘를 1,000개 정도 수집하는 것이다. 둘째 목적은 한글서사체계의 적합성(adaptability)을 어휘 차원에서 세부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한글서사체계 활용의 어휘 기반을 굳게 다지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 결과는, <세딕민족 한글서사체계 활용의 어휘 기반 검증 내역>이란 제목의 【부록】(1∼4)에 잘 집약되어 있다.
    본 연구의 또 하나의 성과는, 한글서사체계 수립에 기본이 되는 로마자 서사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것을 보정하는 방안을 찾아낸 것이다. 이러한 선행 과제를 해결한 다음 수사, 인칭대명사, 차용어, 인·지명 어휘 등을 대상으로 한글서사를 검증한 결과 한글 서사의 적합성에 하자가 없음을 증명하였다.
    그 밖에도 몇 가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한 것이 있다. 첫째, 서사체계 수정 보완 사항을 찾아내게 되었다. 자음 음소 목록에 없는 새로운 신종 자음 3종이 차용어와 인명 어휘에 쓰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머리자음의 j, z, 꼬리 자음의 w가 그것이다. 둘째, 반자음 음절에 we, wi가 있음을 발견 하였다. 이상 3종 자음, 그리고 반자음 음절 2종은 ‘2019 한글서사체계’에 반영해 놓았다.
    아울러 準同音語(9쌍), 同形異義語(12쌍), 異形同義語(28쌍)를 찾아낸 것도 성과의 하나로 꼽을 수 있겠다. 특히 준동음어 9쌍 가운데 l과 r 그리고 x와 h가 대립되는 예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 두 쌍을 각각 동일하게 서사한 ‘2017 한글서사체계’의 단점이 현실적으로는 크게 문제시되지 아니함을 증명한 셈이다. 이렇듯 작은 결실들이 훗날 ‘한글 서사학’의 초석이 될 수 있다면 참으로 天幸이겠다.

    영어초록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bout 1,000 basic vocabularies of Sediq language to lay the foundation for use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s by Sediq people and the second purpose was to verify the adaptability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s in detail at the level of vocabularies to solidify the foundation for use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s. The resultant achievement of such purposes is well summarized in 【Appendix】(1∼4) titled <Details of verification of the vocabulary foundation for use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s by Sediq people>.
    In summary, appendix (1) describes the process through which 1,291 basic vocabularies exceeding the original goal 1,000 vocabularies were collected, the vocabularies were divided into simple words (1,019 words) and compound words (272 words) to correct the Roman alphabet writing word forms to indicate actual pronunciations, and Hangeul writing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Appendix (2) shows 137 vocabularies borrowed from Japanese separately gathered and written in Hangeul. Appendix (3) shows 446 person name vocabularies, and appendix (4) shows the results of empirical Hangeul writing of 40 place name vocabularies.
    Another outcome of this study is that it diagnosed problems in the Roman alphabet writing system, which is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angeul writing system, and found out methods to correct the problems. After resolving the leading tasks as such, Hangeul writing was verified with numerals, personal pronouns, loanwords, and person name / place name vocabularies, an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the adaptability of the Hangeul writing.
    In addition, several new facts were found. First, matters that must be revised or supplemented were found in the writing system. It was found that three new consonants not in the list of consonant phonemes were being used in loanwords and person name vocabularies. They are initial consonants /j/ and /z/, and a final consonant /w/. Second, it was found that semi-consonant syllables included [we] and [wi]. The above-mentioned three consonants and two semi-consonant syllables were reflected on the ‘2019 Hangeul writing system’.
    In addition, the discovery of semi-homonyms(9 pairs), homographs(12 pairs), heteromorphic synonyms(28 pairs) can be also regarded as one of the outcomes. In particular, among the nine pairs of semi-homonyms, examples of conflicts between /l/ and /r/, or between /x/ and /h/ could not be found. This proved that the shortcoming of the ‘2017 Hangeul writing system’ that wrote each of these two pairs identically is not much problematic in reality. If these small outcomes can be one of conerstones for establishment of Hangeulology(Study of Hangeul writing system) later, it will be the Grace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