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法相宗 窺基系 圓測像의 형성 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Examination on Creation of Woncheuk-Image by Kui-ji lineage thinkers of Fa-xiang Schoo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3.04
28P 미리보기
法相宗 窺基系 圓測像의 형성 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43호 / 117 ~ 144페이지
    · 저자명 : 장규언

    초록

    본 논문은 법상종(法相宗) 내 규기계(窺基系) 사상가들의 원측상(圓測像)이 어떤 변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지를 추적하면서 그 내적 논리가 무엇인지 확인한 뒤 원측 당대 현장(玄奘) 문하의 학풍을 중심으로 그 역사적 정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본론에서 우선 7세기 규기(窺基, 632~682) 자신의 『성유식론장중추요(成唯識論掌中樞要)』의 회고에서 발단하여 혜소(慧沼, 650~714)의 『성유식론료의등(成唯識論了義燈)』과 선주(善珠, 723~797)의 『유식의등증명기(唯識義燈增明記)』를 거쳐 찬녕(贊寧, 919~1001)의 『송고승전(宋高僧傳)』 「규기전(窺基傳)」과 「원측전(圓測傳)」에서 정점에 달한 규기계의 원측상이 어떤 변화 과정을 거쳐 도청설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규기계의 원측상은 『성유식론』 참유를 근거로 현장(玄奘, 600~664)과 규기의 인간적 친밀성과 전승의 순도를 강조하는 맥락에서 『성유식론』 해석에 있어 원측(圓測, 613~696)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심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며, 규기계의 인식을 전면적으로 수용한 찬녕의 『송고승전』에 이르러 원측은 『성유식론』 뿐만 아니라 인명(因明),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오성종법(五性宗法)에 이르기 까지 해석의 권위가 부정되고 역사로부터 최종적으로 파문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규기계의 이러한 인식이 역사적 진실에 얼마만큼 부합하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현장 문하의 학풍과 원측의 수학 형태를 방증하는 대표적인 사료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역경이 이루어지는 동안 매일 저녁 현장이 자신이 새로 번역한 경론, 인도의 여러 불교사상가들과 학파들의 학설에 대한 공개 강의와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으며, 또 현장 문하의 학풍 역시 통일적이지 않고 사상적으로 관용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장 문하의 이러한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학풍을 고려할 때 규기계가 종조(宗祖) 현장과의 물리적 또는 인간적 거리를 통해 현장 문하의 사상가들을 정통과 이파로 구별하는 것은 다분히 주관적인 정치 행위에 가깝다고 평가하였다.
    결론에서 필자는 법상종의 정통과 이파의 큰 틀 아래에 규기와 원측을 놓고 그들 간의 사상적 차이점에 주목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전통적 해석에 대한 반발로서 양자의 동일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최신의 해석 모두 규기계 원측상의 그림자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critical examination on creation of Woncheuk-image by Kui-ji lineage thinkers of Fa-xiang school (法相宗, Chinese Yogācāra School) through presenting each moment of its gradual evolution in chronological order, exposing their hermeneutical presupposition, and examining on what historical reality at those days, from which their post-created image may have originated, is based on the academic atmosphere of Xuan-zang School.
    For this, first I have traced each moment of Woncheuk-image, start from the memory of Kui-ji(632~682, 窺基) himself in Chengweishilun zhangzhongshuyao (成唯識論掌中樞要), evolved to a tendency of establishing Kui-ji's interpretation as orthodox based on their master's positive role in making a selective, evaluative editon of Chengweishi lun (成唯識論) in both Chengweishilun liaoyideng (成唯識論了義燈) of Hui-zhao (慧沼, 650~714) and Yuishiki gitō zomeiki (唯識義燈增明記) of Zenjū (善珠, 723~797), and finally peaked to the invention of the infamous “eavesdropping incident"" in Songgaoseng zhuan (宋高僧傳) of Zan-ning (贊寧, 919~1001). As a result of my investigation, I have found that a negative image of Woncheuk (613~696, 圓測 Ch. Yuan-ce) as heterodox in interpreting Chenweishi lun has been increasingly intensified in the context of stressing the human intimacy and authentic transmission of Dharma between Xuan-zang (玄奘, 600~664) and Kui-ji, and finally his hermeneutical authority not only on Chengweishi lun but also on Buddhist logic, Yujiashidi lun (瑜伽師地論), and the doctrine of Five-Gotra was throughly denied and he was excommunicated from Fa-xiang school by the pen of a official historiographer Zan-ning who uncritically had accepted the tradition of Kui-ji lineage thinkers.
    Secondly, for examining on how much Woncheuk-image created by themselves accords with the historical reality in those days, I have searched some materials reflecting the academic atmosphere of Xuan-zang's translation bureau and possible modes of Buddhist classes between Xuan-zang and Woncheuk. In some limited materials, I have identified very important fact that every evening while translation season Xuan-zang had a open lecture and discussion on newly translated Buddhist scriptures and the doctrines of Indian Buddhist thinkers and sects with his students including the one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translation team like Woncheuk. It is also a known fact that the atmosphere of Xuan-zang's translation bureau is so tolerant that there is a few thinkers who are not thoroughly accord to the doctrine in newly translated scriptures. Concludingly, in consideration of open and tolerant atmosphere of Xuan-zang school, I have criticized that the hermeneutical presupposition of Kui-ji lineage thinkers which divided Xuan-zang's students into orthodox and heterodox in terms of the human distance from their common master Xuan-zang is almost the factional act from their own political desire.
    In conclusion, I have criticized both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which tend to posit Kui-ji and Woncheuk under the old framework of orthodox and heterodox, and overstress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 conteractional interpretation against the old one in nowadays which, on the contrary, tend to overstress doctrinal identity and overlook subtle b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thinkers, in that both are considered not to be free from the thick shodow of old Woncheuk-image created by Kui-ji lineage thin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