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광종대 승계제(僧階制)의 시행과 불교계의 재편 (Gor-yeo Gwang-jong period the implementation of Seungkye(僧階) system and Buddhism reorganiz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12
33P 미리보기
고려 광종대 승계제(僧階制)의 시행과 불교계의 재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4호 / 79 ~ 111페이지
    · 저자명 : 김윤지

    초록

    신라에서 왕이 고승(高僧)의 지위를 공인하고자 할 때 수여한 칭호로는 대덕(大德)과 대사(大師)가 있었다. 그러한 정책은 이후 고려에서도 통용되었다. 태조(太祖)는 뛰어난 자질을 지닌 승려를 대덕으로 공인하였고, 당대의 고승이 입적하면 시호(諡號)와 함께 대사를 수여하였다. 광종대에는 대사 이상의 지위가 설정되어 대덕(大德), 대사(大師), 중대사(重大師), 삼중대사(三重大師)로 계서화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승계(僧階)의 제도화로 이해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전 시기 대덕, 대사의 수여와 광종대의 수여가 연결되는 지점들에 주목함으로써 이때의 수여도 기존의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또한 광종대 승계가 승려에 대한 여러 칭호들 중 대덕과 대사로 구성된 이유를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그런데 광종대의 수여는 젊은 승려들이 그 대상이 되었다는 점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다. 주목되는 것은 그들이 국왕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고승의 문하(門下) 승려들이었다는 점이다. 광종은 그들에게 대덕, 대사를 전 생애에 걸쳐 수여함으로써 그 지위를 단계별로 높여주었다. 이는 대덕, 대사가 계(階)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음을 의미하는데 실제로 당시 승정(僧政)을 구성하는 제도의 시행은 관료체계의 정비과정과 함께 한다. 더욱이 승계를 비롯한 관련 제도들은 관료체계의 정비보다도 먼저 시행된 정황들이 보이는데, 국초 승려들을 통치권 안으로 흡수하고 그 상층부를 새로이 구축하는 것이 그 만큼 중대한 사안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광종은 신라 이래 기존의 정책을 계승하면서도 젊은 승려들을 주요대상으로 하여 승려의 상층부를 새로이 설정함으로써 불교계에 변혁을 가하였다. 그러한 시도는 결실을 거두어 이후 선교(禪敎)를 막론한 승려들이 고려의 승정체계로 들어오게 된다.

    영어초록

    Silla’s Kings officially granted the degree of Daeduk(大德) or Daesa(大師) to recognize high priest of Buddhism. The policy hold in Gor-yeo. Tae-jo granted to qualified monks the degree of Daeduk(大德). High priests of Buddhism passed away enter[pass into] Nirvana, Tae-jo granted to them Daesa(大師). Gwang-jong period qualified monks’s rank is from Daesa(大師) to SamjoongDaesa(三重大師). That is counted as Seungkye(僧階)’s institutionalization. This manuscript focused relations before granted monks the degree of Daeduk(大德), Daesa(大師) and Gwang-jong period granted Daeduk(大德), Daesa(大師). The same is true of Gwang-jong period policy. This investigation is instrumental in understanding that Gwang-jong period Seungkye(僧階) be composed of Daeduk(大德), Daesa(大師). However, the change happened grant in Gwang-jong period. There was noticable point that they were high priest of Buddhism’s monk disciple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king. By granting over whole life to them, Gwang-jong raised the position in stage. In those days several system construct Seungjeong(僧政) synchronize bureaucratic system maintenance. Gwang-jong carry on existing policy, maintain one’s focus on the yonger monks, reformed Buddhism. Therefore regardless of Zen Buddhism, non-Zen Buddhism all monks entered Gor-yeo Seungjeong(僧政).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