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직업관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in Job Perspective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elf-estee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5
31P 미리보기
농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직업관 차이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지역산업연구 / 42권 / 2호 / 121 ~ 151페이지
    · 저자명 : 강명보, 손호기, 김상범

    초록

    본 연구에서는 농업계 고교생을 대상으로 희망직종과 선택이유, 직업정보 수집경로, 농 업·농촌 일자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자신의 가치에 대한 평가를 의미하는 자아존중감에 대해 농업계 고등학생의 직업선호도와 진로탐색능력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2017년 09월 27일부터 09월 29일까지 3일간 농업계 고교 재학생 310명을 유효표본 으로 SPSS 23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독립표본 t-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고등학생들의 NCS 기반 희망직종으로는 음식ㆍ서비스가 10.3%로 순위가 가장 높았고, 농림어업 9.2%, 문화, 예술ㆍ디자인ㆍ방송 9.1%, 이용ㆍ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7.9%, 식품가공 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한 이유는 적성과 흥미가 맞아서 61.3%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장래전망이 좋아서 11.3%, 전공분야와 일치해서 10.0% 등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직업정보에 대한 수집경로는 학교를 통해(취업지원센터, 취업관련 강의 행사 등) 36.6%로 가장 많았고, 개인적 인맥을 통해(가족, 친지, 친구, 선ㆍ후배 등) 23.2%, 대중매체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 19.5%, 정부부처 직업정보 사이트(워크넷, 커리어넷 등) 13.6% 등 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검증 결과는 직업선호도에 대한 4가지(안정성 t=2.444/P=.015*, 장래성 t=3.407 /P=.001**, 도전성 t=3.637/P=.000***, 전문성 t=3.371/P=.001**)가설1과 진로탐색능력 (t=5.031/P=.000***)에 대한 가설2는 각각의 통계적 유의수준(P<0.05)에서 유의미하게 채택 되었으며, 연구가설로 세웠던 가설1과 가설2는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농업계 고등학생의 직업선택요인으로‘안정성>장래성>전문성>도전성’을 차례로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직업선호도와 진로탐색 능력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계 고등학생의 다양한 직업관을 살펴봄으로써 자아존중감이 직업 관련 변수로써 매우 중요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field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types of jobs they desire and reasons for choosing, the route of collecting job information, and the problems of agricultural and rural job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career preference and career exploration abil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field according to their assessment of self-worth, i.e., the self-esteem. From September 27, 2017 to the 29 (for three days),with 310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as valid sample, SPSS 23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have indicated that the high-school students ranked 10.3% for food and services as NCS-based desirable job, 9.2%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9.1% for culture, arts, design and broadcasting, 7.9% for use and lodging, travel, entertainment, sports, and 7.7% for food processing. The reasons for choosing were their aptitude and interest were 61.3%, which was the most, good prospects for the future was 11.3%, and in line with the major field was 10.0%. The most common route of collecting job information was through the schools (employment support center, job related lecture events, etc.), which was 36.6%, personal connections (family, relatives, friends, juniors or seniors, etc.) were 23.2%, mass media (TV, radio, newspapers, magazines, etc.) was 19.5%, and job information sites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Worknet, Career net, etc.) were 13.6%. In addition, the hypothesis test results showed that for Hypothesis 1, the four factors of job preference(Stability t=2.444/P=.015*, Prospect t=3.407/P=.001**, Challenge t=3.637/P=.000***, Specialty t=3.371/P=.001**), and Hypothesis 2, the career search ability (t=5.031/P=.000***) were significantly adopted at 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P<0.05), and the research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were suppor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referred job selection factor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e were 'stability> prospects> specialty> challenge', in that order. The students with higher self-esteem showed higher level of job preference and career search ability, comparing to those with lower self-esteem. Therefore, it conclud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as a job-related variable by looking at various occup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역산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