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지증왕계의 등장과불교 공인의 정치사회적 배경 (The emergence of King Jijeung lineage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recognition of Buddhism in Sill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2.06
34P 미리보기
신라 지증왕계의 등장과불교 공인의 정치사회적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46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박미선

    초록

    본 논문은 법흥왕의 불교 공인이 가능했던 정치사회적 배경으로 지증왕의 즉위와 활동에 주목하였다. <냉수리비>에 의하면 지증왕은 즉위 후 4년까지 갈문왕을 칭하고 있어 왕위계승이 순탄하지 않았을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소지왕이 죽은 후 왕위를 계승할 아들이 없어 가장 가까운 친척이었던 지증왕이 즉위하였는데, 그는 ‘눌지왕의 딸’의 아들이라는 자격으로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다.
    눌지왕 때 공주의 치병을 계기로 왕실에 불교가 수용되었는데, 지증왕의 어머니는 눌지왕의 딸로 왕실의 불교 신봉을 경험하였다. 그러한 어머니의 영향으로 지증왕 또한 불교에 우호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지증왕은 모량부 박씨 왕비를 맞이하는데 모량부 박씨 세력은 친불교적 세력으로, 법흥왕은 이러한 부모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지증왕의 친불교적 성향은 순장 폐지에도 영향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지증왕은 소지왕 때 설립된 신궁을 계승하였는데, 신궁은 시조 혁거세를 제사 대상으로 하였다. 지증왕은 박씨와 혼인하였기 때문에 신궁 제사를 통해 왕비 세력과의 결합을 굳건히 하고, 왕위계승의 정당성도 얻을 수 있었다. 신궁을 통해 왕실을 중심으로 제사를 일원화함으로써 사상적 통합을 꾀할 수 있었고, 이후 법흥왕은 신라 통합의 새 사상으로 불교를 제시하였던 것이다.
    한편 소지왕 때까지 고구려와의 충돌이 빈번했으나 지증왕, 법흥왕 때에는 전혀 없었다. 이는 지증왕이 고구려와의 관계 개선을 도모한 것으로, 왕의 친불교적 성향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신라사회의 고구려 및 불교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는데도 기여했을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 위에 법흥왕이 불교 공인을 주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법흥왕대의 불교 공인과 중고기라는 새로운 시기는 친불교적 성향을 가진 지증왕의 즉위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러한 연속성에서 볼 때 지증왕계를 설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focused on the accession and activities of King Jijeung as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that allowed King Beopheung to recognize Buddhism. According to <Stone monument of Naengsu-ri>, King Jijeung was referred to as King Galmun until four years after his accession, so it was understood that succession to the throne would not have been smooth. However, after King Soji’s death, there was no son to inherit the throne, so his closest relative, King Jijeung, took the throne, and he was able to succeed to the throne as the son of ‘King Nulji’s daughter’.
    After the treatment of the princess during the reign of King Nulji, Buddhism was accepted into the royal family, and King Jijeung’s mother was the daughter of King Nulji, who experienced the royal worship of Buddhism. It was possible that King Jijeung was also friendly to Buddhism under the influence of such a mother. Furthermore, King Jijeung welcomed the Queen of the Moryang-bu Park clan, and the Moryang-bu Park clan was a pro-Buddhist force. Their son, King Beopheung, was influenced by these parents and insisted on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King Jijeung’s pro-Buddhist tendencies also influenced the abolition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In addition, King Jijeung inherited the Singung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oji, and the Singung was the subject of ancestral rites to the founder of Silla, Hyukgeose. Since King Jijeung was married to the Park clan, he was able to solidify his bond with the queen through the Singung rites and gain the legitimacy of succession to the throne. By unifying the ancestral rites centering on the royal family through the Singung, ideological unity could be achieved, and King Beopheung proposed Buddhism as a new ideology of unification of Silla.
    On the other hand, clashes with Goguryeo were frequent until the time of King Soji, but not at all during the reigns of King Jijeung and Beopheung. This was the result of King Jijeung’s improved relationship with Goguryeo, and it is believed that the king’s pro-Buddhist tendencies had an effect. This would have contributed to changing the perception of Goguryeo and Buddhism in Silla society. With this change of perception, King Beopheung was able to claim the recognition of Buddhism.
    King Beopheung’s public recognition of Buddhism and the new period of the Middle Ages began with the accession of King Jijeung, who had a pro-Buddhist tendency. In view of this continuit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lineage of King Jije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