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도 서귀본향계 본풀이의 자료적 성격과 양상 (Charaters and Aspects of Materials on Lineage of Seogwi Bonhyang Bonpur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1.02
29P 미리보기
제주도 서귀본향계 본풀이의 자료적 성격과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22호 / 137 ~ 165페이지
    · 저자명 : 권태효

    초록

    제주도 서귀본향계 본풀이는 신들의 삼각관계 사랑을 다루는 신화라는 점, 신들의 갈등에 따라 지역민들의 갈등까지 잘 담겨 나타나는 신화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던 신화임에도 채록자료 검토를 비롯한 기본적인 연구조차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자료이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채록된 자료 전반을 검토하면서 다음 두 가지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는 글이다.
    첫째는 1930년대에 채록된 아카마스와 아키바의 자료가 60년대 이후에 채록된 자료와 비교해 여러모로 이질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바람운의 근본을 제주도 토착신이라고 제시하는 점, 박색의 고산국을 미모의 여신이라고 하는 점, 지산국의 능력 또한 고산국보다 월등히 뛰어난 존재로 묘사하는 점 등 60년대 이후 자료와 비교해 신의 근본이나 성격에 있어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특수한 자료 성격을 지닌 각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서귀본향계 본풀이는 서귀리, 동홍리, 서홍리 등 세 마을 신들간의 화합과 갈등을 담은 신화로, 동일한 당신화를 함께 공유하면서도 믿는 지역 신앙민에 따라 다른 각도의 신화가 서술 묘사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귀본향계 본풀이는 바람운과 지산국을 섬기는 서귀․동홍리에서 전승되는 자료와 고산국을 섬기는 서홍리에서 전승되는 자료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동일한 신들이 등장하고 동일한 서사적 내용을 지닌 본풀이를 함께 전승시키고 있으나 신들간의 갈등이 두드러지기에 신앙 지역에 따라 각기 신의 성격 및 능력, 본풀이의 전개 시각은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바람운과 지산국을 섬기는 지역은 동일한 본향당본풀이가 전승될지라도 그들이 모시는 신들의 능력을 높이고 찬양하며, 이들 신 중심으로 본풀이가 전개되어 나간다면 고산국을 섬기는 서홍리의 본향본풀이는 그 반대로 고산국이 주체가 되고 고산국의 뛰어난 능력을 위주로 당본풀이가 전개된다. 곧 동일한 신화를 공유할지라도 신앙민과 신앙권역에 따라 신화 전승의 변이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Seogwi Bonhyangdang Bonpuri(Shamanistic Myth of Seogwi Bonhyangdang) has been caught eyes of scholars in academia due to its two characteristics; first, it deals with the triangle love affairs of gods, second, it also shows the conflict of local people which depends on the conflict of gods. In spite of these kinds of academic importance the source itself has, it is true that basic research such as analysis on the recorded source hasn’t even been done. In regards to this, this article will look into the two aspects by reviewing the recorded source so far.
    Firstly, there are certainly a variety of different aspects in the source recorded by Akamas and Akiba in the 1930s when it is compared and contrast with the source being recorded after 1960s. The three different aspects could be highlighted from the source recorded by Akamas and Akiba as follows; first, it argues that the Baramun was a type of indigenous god dwelling on Jeju Island, in other words, the origin of the Baramun can be traced back to as a local god on Jeju Island, second, it also regards Gosanguk, a homely looking goddess as the goddess of beauty, third, it describes Jisanguk, also another main goddess in the story, as someone more superior than Gosanguk. Those kinds of differences would allow scholars to think of it as a type of version which should be considered as academically and historically valuable source.
    Secondly. Seogwi Bonhyangdang Bonpuri dealing with both the harmony and conflict among the three gods from the three villages, Seogwiri, Dongheungri, Seohongri, shows that a certain type of myth can be both narrated and described as the myth with different angles depending on the local people who are the ones share and believe in the myth. The myth can be divided by the two; one is the historical source transmitted in Seogwiri and Dongheungri, in which Baramun and Jisanguk are worshiped by the local people and another is the historical source transmitted in Seohongri in which Gosanguk is worshiped by the local people. It is true that the myth dealing with the same gods and same narrations has been being transmitted. Yet, since the conflicts among gods are fairly noticeable, depending on the local regions, there are differenc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capacity which the gods could perform and the way how the storyline is developed in the Seogwi Bonhyangdang Bonpuri.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s, basically, the subject being worshiped by the local people and being more foc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storyline can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regions. In the regions in which people worship Baramun and Jisanguk, even though the same kind of Seogwi Bonhyangdang Bonpuri has been transmitted, there are a certain level of tendency that people praise the capacity which the gods they believe in could perform and the story is being developed by focusing the gods they worship for. In the regions of Seohongri where Gosanguk is worshiped by the local people, Gosanguk becomes the main subject of the story and also the story is being developed by focusing more on the excellent capability Gosanguk has. In other words, even though people share same myth, the myth can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local people, the believers, and the regions where the local people dwell on with faith. In this regard, the different aspects and its variations can be academically worth looking into more in detai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