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老論系 文臣 李秀彦의 활동과 黨派적 성격 (Activities and Factional Nature of Lee Su-Eon, a Civil Official in the Noron Lin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8
40P 미리보기
老論系 文臣 李秀彦의 활동과 黨派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72호 / 179 ~ 218페이지
    · 저자명 : 고수연

    초록

    李秀彦(1636~1697)은 17세기 후반 老少分裂과 換局이 절정이던 시기 지역에 물러나 있지 않고 중앙 정치의 최전방에서 노론계 文臣으로 활동한 인물이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노론계인 문신 이수언의 正體性에 대하여 주목하여 이수언의 가문과 교유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수언의 출신지역인 충청도 청주지역은 송시열의 문인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던 군현이었고, 문인 중에서도 韓山李氏가 가장 많았다. 이수언은 예조판서까지 오르게 되면서 청주지역 한산이씨 문인 중에서도 대표적인 인물로 자리잡았다. 또한 이수언은 송시열의 문인과 매우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끊임없이 교유하고 있었다.
    과거 급제 후 중앙 관직에 나아간 이수언은 老論의 영수인 스승 송시열의 변호에 힘을 쏟았다. 이수언은 1674년(숙종 원)에 甲寅禮訟의 연장선상에서 송시열이 현종 지문 짓는 것을 반대한 南人 郭世楗을 논척하다가 체직되었다. 노소분열이 한창이던 1687년(숙종 13)에는 懷尼是非의 연장선상에 있던 少論 羅良佐의 상소에 대하여 논척하여, 나양좌가 유배를 가기도 하였다. 이수언은 노론계 문신의 변호도 도맡아 하였다. 사헌부 대사헌을 역임하는 등 주로 간관에 있었기 때문에 간언을 했겠지만, 그 방향은 언제나 철저하게 자파인 노론의 당론 관철과 노론 관료들의 변호였다. 이수언은 노론계 문신이자 송시열의 문인이었던 李徵明·閔鎭周·李選·李翔 등을 구명하는 상소를 올렸고, 이로 인하여 1689년 己巳換局 때 유배되기에 이른다. 甲戌換局으로 다시 관직에 올랐으나, 소론 吳道一을 논척하다가 또 좌천되었다.
    이수언은 유배나 체직으로 지역에 물러나 있을 때에도 스승 송시열 제향서원 건립 및 추배, 문집 필사 등 스승의 추숭활동에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1694년 수원 梅谷書院 건립, 1695년 정읍 考巖書院 건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1696년에는 양주 道峯書院에 송시열을 추향하고, 청주 華陽書院을 건립하는 것에도 힘을 쏟는다. 이러한 송시열 제향 및 추향서원의 건립과 활동은 스승의 추숭뿐아니라 노론의 지역세력 확대에도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이수언은 중앙 관직에 나아가서나 유배나 체직으로 지역에 물러나 있을 때도 모두 스승 송시열과 정치적 궤를 함께했다. 즉, 이수언은 송시열의 문인으로 관직에 나아가 예송, 노소분열, 환국이 있을 때마다 노론계 문신으로 적극 활약하였고, 관직에서 물러나서는 송시열의 추숭활동에 몰두한 17세기 후반 노론계 문신의 典型을 보여준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Lee Su-eon(1636~1697) was a man of letters under the guidance of Song Si-yeol, the leader of Nor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when division between Noron and Soron reached a peak along with Hwanguk in Joseon, he refused to stay in the local area and was active on the front line of central politics as a civil official of the Noron line.This study first focused on Lee's identity as a civil official in the Noron line. Cheongju, Chungcheong Province, where he was born, had the biggest number of literary people influenced by Song Si-yeol with members of the Hansan Lee family accounting for the biggest proportion. Lee climbed the ladder to the position of Yejo Panseo in the government, establishing himself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people under the influence of Song in the Hansan Lee family in Cheongju.After holding office in the government, Lee took the lead in advocating for Song. In 1674(the first year of King Sukjong's reign), he defeated Gwak Se-geon of Namin, who was against Song writing a Jimun for King Hyeonjong, in an argument as an extension of Gabinyesong and was removed from office. In 1687 (13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when the division between Noron and Soron was at its peak, he defeated Na Yang-jwa of Soron, who submitted an appeal to the king in an argument as an extension of Hoinisibi. As a result, Na was sent into exile.Lee also held himself responsible for advocating civil officials in the Noron line. His expostulation may be inevitable since he usually held a position in line with expostulation such as Daesaheon of Saheonbu, but the direction of his expostulation was always to stick to and achieve thoroughly the party platform of Noron where he belonged. He submitted an appeal to beg for mercy for Lee Jing-myeong, Min Jin-ju, Lee Seon, and Lee Sang, who were literary people under the influence of Song and civil officials in the Noron line, and he was eventually forced into exile in Gisahwanguk in 1689. He was allowed to work in the government again after Gabsulhwanguk, but he was then demoted after beating Oh Do-il in an argument.Furthermore, when he retired to a local area, Lee played a major role in activities to worship his master Song Si-yeol by building a Seowon where a sacrificial rite would be held for Song, taking a bow in such a rite, and transcribing collections of Song's work. His leading roles were especially prominent in the construction of Maegok Seowon in Suwon in 1694 and the construction of Goam Seowon in Jeongeup in 1695. In 1696, he held a sacrificial rite for Song at Dobong Seowon in Yangju and devoted himself to the construction of Hwayang Seowon in Cheongju.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Lee followed the political trajectory of his master Song both in government office and away from it into exile and retirement. Once Song passed away, he was committed to doing activities to worship him. That is, he held office in the government as a man of letters and was active as a civil official in the Noron line during Yesong, division between Noron and Soron, and Hwanguk. After retiring from government positions, he was absorbed in activities to worship Song. In a word, he was a typical civil official in the Noron line i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