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제주지역 지식인의 외부세계 소통과 활동 (The Growth of the Jeju intellectuals in the Modern Age and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orl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8.07
30P 미리보기
근대 제주지역 지식인의 외부세계 소통과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27호 / 63 ~ 92페이지
    · 저자명 : 김동전

    초록

    근대 제주지식인들은 다른 지방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근대 세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함으로써 제주라는 지역적 공간과 전통의 문제를 보편적인 문제로 고양시키고, 그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나가고자 하였다.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중앙과의 원활한 소통에는 제약이 있었지만, 일단 제주인들은 최익현, 김윤식 등 제주 유배인들을 통한 중앙과의 소통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소위 ‘조천김씨’로 일컬어지는 김해김씨 조천리 이동파 문중 출신의 김응전과 김응빈 형제의 끊임없는 서울 왕래와 대원군, 민태호와의 교류는 제주지식인들이 중앙정치인들과의 소통을 의미한다.
    김윤식과 이동파 문중의 김응빈을 중심으로 주도된 204회의 ‘귤원’ 시회는 제주와 중앙의 의식 세계를 공유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이었다. 중앙의 의식세계로 대표되는 제주 유배인 집단은 김윤식으로 집되어 있었고, 지방의 의식세계를 대변하는 집단은 김응빈을 중심으로 송두옥ㆍ김희정 등이 결합되어 있었다. 이 둘의 만남의 장이 곧 ‘귤원’ 시회이며, 이는 중앙과 지방이 서로의 소통을 통한 결합의 장이었다.
    또한, 조천김씨 이동파 문중 출신 가운데 송산 김명식은 제주 조천리 외에, 서울, 일본의 동경과 오사카를 왕래하면서 당대의 사상가들과 교류하면서 레닌과 러시아혁명, 마르크스주의 등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그 후 사회혁명당, 고려공산당에 가입하여 주요 간부로 활동하였으며, 조선청년연합회, 조선노동공제회 창립을 주도하였다. 그리고 동아일보와 신생활 잡지를 통해 그의 사상을 대중들에게 전파시킴으로써 무산계급의 혁명을 실천에 옮기고자 하였다. 당시 국내외에서 운동의 핵심에 위치했던 제주출신 무정부주의 항일운동가였던 고순흠, 노동운동가인 김문준, 양제박, 홍순녕, 혁신적 지식인 이성태 등과 밀접한 교류를 통해 사회주의 운동을 실천해 나가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Jeju intellectuals in the modern age recognized the trend of the world in a variety of ways like those in other provinces. They raised the regional and traditional problems of Jeju to the level of universal ones and tried to solve them more specifically. Thoug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n island restricted their communication with intellectuals in Seoul, they could keep in contact with them through some deportees such as Choi Ik-hyun or Kim Yun-sik.
    In addition, the brothers, Kim Eung-jeon and Kim Eung-bin, frequently visited Seoul and met Min Tae-ho and the Taewongun(a regent), which enabled Jeju intellectuals to have more connection with those in Seoul. The brothers belonged to the Kimhae Kims Jocheon Yidong family group of the so-called Jocheon Kims.
    Kim Yun-sik and Kim Eung-bin led the 204th poetry club ‘Gyulwon’, which served as a place of discussion, where Jeju intellectuals and those in Seoul could share their consciousness. The central consciousness was represented by Kim Yun-sik and his follower deportees and the Jeju local one by Kim Eung-bin, Son Du-ok and Kim Hee-jeong. So the poetry club ‘Gyulwon’ played the role of communication of the intellectuals in Seoul and those in Jeju.
    In the center of Jeju intellectuals were always placed the intellectuals of Jocheon birth. They always realized the situations of the world by keeping in close contact with Jocheon residents in Seoul and Osaka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