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예비교사들의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이해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Legal Unit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9.06
11P 미리보기
초등 예비교사들의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과학교육연구지 / 33권 / 1호 / 111 ~ 121페이지
    · 저자명 : 김성규, 공영태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관심과 지식정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C 교대 초등예비교사 1,096명을 대상으로 법정계량단위에 대한 인식과 관심, 학년별, 성별, 계열별로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하여 변인별 빈도와 백분율(%)과 교차분석(x2)을 산출하여 분석해 보았다.
    법정계량단위사용의 시기에 대한 관심은 52.1%가 잘 알지 못하였고, 단위사용에 대한 혼란을 느낀 경험을 60.1% 갖고 있다고 하였다. 시행공포후의 반응에서는 절반이상이 별 달라진 것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법정계량단위 사용의 정착을 위한 노력은 방송매체, 수업시간 그리고 캠페인, 연수의 순으로 습득해야한다고 하였다.
    법정계량단위에 대하여 학년별, 성별 그리고 문과, 이과계열출신별로 지식정도를 알아본 결과로는 길이와, 넓이, 부피, 질량 단위 등은 학년별, 성별 그리고 이과, 문과계열출신별에 관계없이 따른 지식정도는 잘 알고 있었다.
    3학년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고 지식 정도 순서로는 3>4>2>1 순으로 나타났다. 3학년의 경우 교육과정상 단위 관련 과목을 배운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아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성별의 경우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정답률이 높았다. 온도는 남자가 정답을 택한 경우가 많았으며 여학생은 한 명도 정답을 선택하지 않았다. 시간의 경우 여학생들의 정답률이 남학생보다 2.7배 이상으로 높았다.
    문과, 이과계출신별 지식정도는 부피와, 빛의 밝기는 동일하였고 온도를 제외하고는 예상과 달리 문과계열출신학생이 정답률이 높았다. 특히 광도를 나타내는 SI단위인 ‘칸델라(cd)’보다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럭스’ 단위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것 같다. SI 기본단위는 학년별, 성별 그리고 문과, 이과계열별에 관계없이 잘 모르고 있었다. 또한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하고 있는 유리 및 보조단위를 기준단위와 혼동하여 쓰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단위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정부의 미온적인 대처가 제도정착을 지연시키는 한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정부는 제도정착을 위해서 다른 나라의 경우를 거울삼아 하루빨리 정착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understand the legal Units, focusing on seven basic unit such a ‘m', ‘㎡', ‘L', ‘kg', ‘K', ‘cd', ‘s'.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whether the students understand the legal units. The subjects were 1096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Jinju, Gyeongnam.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by this research and checked by authority,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responses to each question were obtained and analysed.
    The survey was the legal units on interesting, using the experience of confusing and understand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Korea Government is regulating using traditional measures such as ‘pyeong' or ‘don' in commercial transactions change to adopt the metric system for as a subsidiary the first of July, 2007.
    The interesting of the legal units dose not exceed a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52.1%. Their were answered that the experience of the confused of 60.1% in the life. How to do efforts for the settle down of the legal units that answered broadcasting>in class>a campaign>study and training by an academic year in oder.
    Findings show regardless of academic year, gender and from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or the science department all the students knew very well that ‘m' ‘㎡', ‘L', ‘kg' are included in the legal units, compared to the others low percentage of ‘K', ‘cd' and ‘s' the legal units.
    In case of time(s), women has correct answered 2.7 times than man. In case of academic year, except for the third-year students was not to exceed 50%.
    In case of from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or the science department contrary to one's expectations increase of 50% or more correct answer while half the students scored in scienc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seems to thinking separate the legal units with their in university life. Als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the lack of interest on society. Their should be for settle down of the legal units through learning to class in university, newspapers, strengthen publicity activities of broadcast media's further more by maintenance efforts of the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과학교육연구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