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웹툰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 연구 (A Study on Measures to Create Local Webtoon Ecosyst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8.06
21P 미리보기
지역웹툰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51호 / 181 ~ 201페이지
    · 저자명 : 최승춘, 윤기헌

    초록

    한국 만화산업은 출판만화시장의 축소와 만화대여점의 몰락 등으로 꾸준히 쇠퇴를 거듭하다 2000년대 이후 웹툰의 등장으로 급격한 질적 변화와 폭발적인 양적 성장을 가져왔다. 만화라는 단어는 웹툰의 광의적 의미로 해석되고 있으며, 웹툰은 만화의 포괄적인 개념까지 승계 받고 있다. 웹툰은 디지털기기를 사용하고 데이터화된 원고를 생산, 제공함으로서 콘텐츠의 지역적, 공간적, 물리적 한계를 뛰어 넘고 있다. 더구나 지역별 인적인프라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정부의 만화산업 지원정책과 맞물려 웹툰체험관, 웹툰캠퍼스, 웹툰창작센터 등의 창작인프라가 지역에 구축되어 활발한 움직임과 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웹툰은 지역 성장론과 지역분권에 맞는 산업적 모델로 인식받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도권과 부천 중심으로 만화인프라가 심각하게 편중되어 불균형한 구조로 놓여있는 현실이다.
    만화산업을 견인하고 있는 웹툰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성장한 짧은 만화역사를 가지고 있다. 지역웹툰 역시 성장의 초기단계에 진입했을 뿐이다. 만화의 인적인프라와 웹툰의 창작인프라로 활성화된 지역웹툰은 창작시설의 구축완료 이후 향후 성장 동력의 연구와 대안이 절실한 상태이며, 지속적 발전을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점이다. 결국, 웹툰이 지역발전의 새로운 방향인 ‘문화’로 지정되어 이와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만화콘텐츠를 개발, 지역의 관광, 문화, 예술 산업과 연계하는 모델이 꾸준히 개발되어야 연착륙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서 지역웹툰이 지방분권과 지역산업 부흥의 작은 모멘텀으로 작용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The cartoon industry in Korea has continued to decline due to the contraction of published comics market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comic books rental stores until the 2000s when it rapidly started to experience qualitative changes and quantitative growth due to the emergence of webtoon. The market size of webtoon industry, valued at 420 billion won in 2015, is expected to grow to 880.5 billion won by 2018. Notably, most cartoonists who draw cartoon strips are using digital devices and producing scripts in data, thereby overcoming the geographical, spatial and physical limitation of contents. As a result, a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creation of local ecosystems is generated. While the infrastructures of human resources are steadily growing by region, cartoon industries that a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policy have shown good performance combined with factors of creative infrastructures in local areas such as webtoon experience centers, webtoon campuses and webtoon creation centers, etc.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cartoon infrastructures are substantially based on a capital area which leads to an imbalanced structure of cartoon industry. To see the statistics, companies of offline cartoon busines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ake up 87%, except for distribution industry. In addition, companies of online cartoon business which are situated outside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m merely 7.5%.
    Studies and research on local webtoon are inadequate. The existing studies on local webtoon usually focus on its industrial and economic values, mentioning the word “local” only sometime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local webtoon of the present time for the current state of local cartoon ecosystem, middle and long-term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an alternative in the future. Main challenges include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enjoy cartoon cultures, the independence of cartoon infrastructure, and the settlement of regionally specialized cartoon cultures. It means that, in order to enable the cartoon ecosystem to settle down in local areas, it is vital to utilize and link basic infrastructur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dependence and autonomy beyond the limited support by the government. Finally, webtoon should be designated as a culture, which can be a new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local webtoon. Furthermore, desirable models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and studied, which are suitable for each region and connect them with regional tourism, culture and art industry. It will allow the webtoon industry to soft land in the industry. Local webtoon, which is a growth engine of regions and main conten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be a momentum for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reindustrialization of reg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