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北愚 桂奉瑀의 민족교육활동 (Buku Gye Bong-U's National Education Activ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3.05
29P 미리보기
北愚 桂奉瑀의 민족교육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교육 / 36호 / 127 ~ 155페이지
    · 저자명 : 김대용

    초록

    계봉우는 중국과 러시아를 넘나들며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평생 민족의식을 잇는 교육활동에도 집념을 보여 많은 활동 이력을 남겼 다. 이 글에서는 그가 국내에서 펼친 초기 교육활동부터 망명 후 북간도에 서 전개한 교육활동과 함께 연해주와 카자흐스탄에서 이어간 민족교육활 동을 살펴보았다. 을사늑약 소식을 접하고 민족적 현실을 깨닫게 된 그는 국권회복의 일 환인 민족교육에 투신하였다. 1906년 영흥에서 홍명학교를 열고 교육활 동을 시작한 그는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독학으로 공부할 정도로 열성 적이었다. 1908년에는 계몽운동 단체에도 참여하였고, 기독교에 입교하 여 영생학교의 교원으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다. 1911년 북간도로 망명한 그는 길동기독학당의 교사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간민교육회의 교과서 편찬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학 교는 3년 만에 폐교되었고, 그는 러시아 연해주로 이동해 활동하다 한인 독 립운동가들에 대한 퇴거명령에 따라 중국 왕청 하마탕으로 옮겨 소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던 중 일제경찰에 피체되어 국내로 압송되었다. 1919년 재망명하여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 북간도 대표로 활동하였다. 1920년 사회주의를 수용한 후 연해주에서 사회주의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1923년부터는 교육과 집필활동에만 매진하여 연해 주의 민족학교에서 그리고 강제 이주 후 카자흐스탄에서 조선어와 조선 역사를 가르치며 마지막까지 교육자로 살았다. 당시 그는 소비에트 사회 체제 내에서 살아가야 하는 현실에 순응하여 사회주의 교육을 강화하려 는 정책을 받아들이면서도 고려인에 대한 민족교육의 선행과 확대의 필 요성을 역설하는 등 민족주의 교육자로의 집념을 보였다.

    영어초록

    Gye Bong-U engaged in activ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between China and Russia and left a record of abundant activities devo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to pass along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out his life. This study examined his early educational activities in Joseon, his educational activities that developed in North Gando after his asylum there, and his national education activities that he continued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Kazakhstan. Receiving the news of the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concluded in 1905, he realized the reality faced by the Korean people and devoted himself to national education as part of the efforts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In 1906, he opened Hongmyung School in Youngheung and began his educational activities. He was so passionate about his educational activities that he taught himself to teach his students. In 1908, he joined an enlightenment movement organization and entered Christianity, earning a reputation as a faculty member at Youngsaeng School. In 1911, he sought asylum in North Gando, where he taught students at Gildong Christian School as a teacher and was active as a member of the textbook publication committee at Ganminhoe. The school was, however, closed after three year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He moved to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engaged in activities there before he moved to Hamatang, Wanqing, China following the order to evict Korean fighters for independence. He was teaching at a primary school when the Japanese police caught him and sent back to Joseon. In 1919, he sought asylum for the second time, where he represented North Gando in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He developed his socialist activities actively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fter accepting socialism in 1920. Starting in 1923, he was committed solely to education and writing activities and taught the language and history of Joseon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national schools, and Kazakhstan after deportation. He lived as an educator till the last moment of his life. In those days, she showed his commitment as a nationalist educator by highlighting the need to prioritize and expand national education for Goryeo people while adapting to the reality of a life within the socialist system of the Soviet Union and accepting the policy to reinforce socialist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