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빌리티 생태계 발전과 스타트업 활성화 (An Ecological Approach to the Mobility Ecosyst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3.03
31P 미리보기
모빌리티 생태계 발전과 스타트업 활성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모빌리티학회
    · 수록지 정보 : 모빌리티연구 / 3권 / 1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김상준, 이종욱

    초록

    본 연구는 모빌리티 생태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성장 과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어떻게 구체화하고 하는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모빌리티 생태계의 성장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모빌리티 생태계 발전을 위해 고려해야 할 네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된 2010년 이후, 모빌리티 생태계는 CASE 중심에서 GPT 기반의 육상-하늘-바다에서 다양한 이동 수단의 발달하는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어, 모빌리티 생태계는 경제학의 생산네트워크 관점으로 보면 다차원적이고 다양성의 관점으로 이해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모빌리티 관련 생태계에 진출한 스타트업, 벤처기업의 수 그리고 투자액을 도시한 그림을 보면, 전형적인 생산함수의 모양은 이미 한계생산력 체감의 법칙이 작용하는 모습으로 바뀌고 있어서, 기업의 수 및 투자액의 증가율은 양이지만 증가율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모빌리티의 새로운 GPT, 인프라에 대한 투자의 선점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방법으로 모빌리티 생톄계를 분석해 보면, 모빌리티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적 변형(metamorphic process)은 모빌리티 생태계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빌리티 개념과 정체성, 그리고 모빌리티 관련 기술들을 중심으로 사업적 변형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투자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넷째, 산업간 경계의 붕괴로 인해 모빌리티 생태계에서 벤처기업, 창업은 산업간 칸막이를 유지하면서 지원하는 정책은 그 효과성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 산업간의 융합적인 사업적 변형이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STEM 인력의 육성이라는 교육정책과 연결이 필수 불가결할 것이다. 이에 중소벤처기업부는 부처간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벤처기업, 창업,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척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국내 모빌리티 생태계에서 모빌리티의 기존의 개념에 입각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업이 나타나고 있는 양상과 병행하여 새로운 영역이 모빌리티 생태계로 유입되는 가능성이 포착되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새로운 영역이 창발 되는 과정은 아직은 그 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모빌리티 생태계를 보다 혁신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중요한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모빌리티 개념과 그 정체성을 확장하여 더 다양한 산업과 특성이 모빌리티 개념과 결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ortraits how the mobility ecosystems has been constructed and evolved over time. And this ecological understanding of mobility ecosystems is specified in the Korean context. Drawn from community ecology, we specify (1) how mobility-dedicated de novo firms, as a nucleus of ecosystem creation, emerge in Korea and (2) what sub-fields of mobility are inter-related through forming the de novo firms. To capture how the Korea mobility ecocsystems are constructed, we employ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Specifically, from the empirical observations that firms dedicated to the mobility field tend to use general purpose technologies (GPTs) to incorporate the knowledge from different fields, we construct 2-mode network constituted by de novo firms and their dedicated fields between 2015 and 2021. These network structures are converted to one-mode networks indicating how different fields are co-located by the creation of a de novo firm over time. Through analyzing such time-series social networks, we found fiv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the general pupose technologies (GPTs) play a critical role in creating the mobility ecosystems. This GPT-based evolution of the mobility ecosystems can provide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mobility fields. Second, given that the resource flows in and around the global moblility ecosystems (i.e. investments, firm formation, ecosystem proliferation etc.) show a decreasing growth pattern since 2018,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mobility ecosystems, the financial aspects of the entrepreneurial processes (investments, financing processes, etc.) should be revisited. Third, mobility ecosystems are proliferated with metamorphic processes which unfold in terms of related technologies, their organizational entities and sub-fields involved, and organizational boundaries. We suggest that entrepreneurial-financing policie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to facilitate the metamorphic processes in the ecosystems. Fourth, the public policies need to foster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industrial fields. For this, the mobliity ecosystems need to include how human capital can be developed, espeacially in the area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ntics (i.e. STEM). Last, entrepreneurial processes bring the opportunities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e mobility ecosystems by incorporating disruptive technologies. For this, future studies further investigate how the concept of mobility is incarnated into the entrepreneurs, who can embody the values of moblility through their own business mod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