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 비판철학과 카프카의 『소송』 - 현상계와 예지계 사이의 심연으로 추락하는 주인공. 독자의 몫은? (Kritik und Kunstwerk. Kafkas Roman Der Prozess unter der Perspektive von Kants transzendentaler Philosophi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12
21P 미리보기
칸트 비판철학과 카프카의 『소송』 - 현상계와 예지계 사이의 심연으로 추락하는 주인공. 독자의 몫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65권 / 4호 / 71 ~ 91페이지
    · 저자명 : 이순예

    초록

    이 글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평가 절하되고 효용성이 부정되어온 '예술의 자율성' 테제를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한 의도에서 카프카의 장편소설 『소송』을 칸트 비판철학을 토대로 삼아 고찰한다. 칸트의 이론구도에 따르면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의 관할구역은 서로 넘나들 수 없게 단절되어 있으며 예술이 촉발하는 반성사유에 의해서만 두 영역이 인간의 의식 속에서 순간적으로 통일을 이루는 때가 찾아온다. 이 통합의 순간이 바로 분화와 분열로 특징지워진 근대세계에서 인간이 자신을 ‘주체’로 구성하여 분열을 극복하고 스스로를 독립된 인격체로 의식하는 순간이다.
    칸트는 이 가능성이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열려있음을 『판단력비판』에서 논증하였다. 『소송』은 ‘허구’라는 문학의 속성을 감성세계(현상계) 쪽으로 초감성계의 사안을 불러올리는 가능조건으로 적극 활용한다. 현실과 비현실의 공간이 뒤섞이는 줄거리가 짜였다. 개념이 구성되면서 물자체로 밀려난 ‘비동일자 das Nichtidentische’가 허구라는 조건을 발판으로 삼아 줄거리에 편입된 것이다. 이 ‘가상 der Schein’의 세계에서 실현된 뒤섞임이 새로운 전망을 사유할 계기로 정립된다. 비현실이 경험 현실을 상대화시켜 현실이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환기시키기 때문이다. 카프카는 주인공의 죽음이 반성사유 촉발의 계기로 작동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

    영어초록

    Die Autonomie des Kunstwerkes ist inzwischen in Misskredit geraten. In dieser Arbeit gehe ich davon aus, dass der Versuch postmoderner Theoretiker, die Autonomie der Kunst als ein verlorenes Überbleibsel abzuschreiben, nicht gelingt und die Menschheit in der globalisierten Welt teuer zu stehen kommt. Eine unerwünschte Schlussfolgerung ergibt sich. Im neoliberalen Kapitalismus wird die konsumorientierte Lebensweise vorangetrieben.
    Die Grenzen sind abgeschafft, nicht nur im menschlichen Bewusstsein und im Zusammenhalt unter den Menschen, sondern auch bei der Distribution und beim Verkauf von Waren.
    Unter diesem Gesichtpunkt habe ich versucht, Kafkas Roman Der Prozess als ein autonomes Kunstwerk zu interpretieren. Die theoretischen Grundlagen stammen aus Kants transzendentaler Philosophie. Der Protagonist Josef K. leidet unter der Entzweiung in der modernen Welt und scheitert am Ende, da er die Überbrückung zwischen der sinnlichen und übersinnlichen Welt nicht schafft. Er hält an seiner Position in der sinnlichen Welt fest. Worin liegt seine Schuld, lautet die Frage, die dem Leser weiter zu denken gibt.
    Beim menschlichen Streben, diese Kluft zu überbrücken, kommt die reflektierende Urteilskraft zum Tragen. Ein Kunstwerk soll uns helfen, diese Reflexion ins Leben zu bring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