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상계․상징계․실재계를 넘나드는 욕망의 양상 - <비우티풀>과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를 중심으로 - (The Aspect of Desire Crossing l’imaginaire, le symbolique, and le réel - Focused on《Biutiful》and《The Revenant》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6
21P 미리보기
상상계․상징계․실재계를 넘나드는 욕망의 양상 - &lt;비우티풀&gt;과 &lt;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41호 / 263 ~ 283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인간은 끊임없이 욕망한다. 그러나 욕망의 원인을 인식하지 못한 채, 우리는 죽음의 순간까지 그것을 지속하는지도 모른다.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라캉(J. Lacan) 은 프로이트(S. Freud)의 이론을 계승하여 욕망의 문제를 재해석하고, 인간이 살아가는 현실세계를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분류하였다. 먼저 상상계는 자아와 이미지로 대표되는 동일시와 오인의 범주이며, 상징계는 언어와 규범의 세계로 인간이살아가는 현실세계와 가장 맞닿아 있는 범주이다. 끝으로 두 범주가 내포하지 못하는그 너머의 세계인 실재계는 도달하지 못하는 욕망의 대상인 ‘대상 a’가 포함된 범주이다. 라캉은 세 범주를 중심으로 불안이 생기는 원인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욕망에관한 독창적인 이론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상술한 라캉의 범주와 욕망 이론을활용하여, 삶과 죽음이라는 주제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재현한 이냐리투 감독의 영화<비우티풀>과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세 범주와연결된 ‘불안 변증법’ 및 ‘행동화’와 ‘행위에의 이행’의 개념을 활용하였다. 먼저 <비우티풀>에서는 거친 상징계를 살아가는 욱스발과 여전히 상상계적 환상에 머물러 있는그의 아내 마람브라를 통해 욕망의 원인과 재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라캉의불안변증법 도식을 통해 두 인물의 불안과 욕망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이후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에 등장하는 선과 악을 대표하는 인물인 글래스와 제럴드의욕망을 다루기 위하여, 상징계의 행동화와 실재계의 행위에의 이행에 관한 이론을대입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인간 욕망을 재현해낸 이냐리투 감독의 두 영화를라캉의 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덧붙여 욕망에의 객관적 접근을 위해 들뢰즈의이론과 간략히 비교하여, 타자 및 세계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인간의 불안과 욕망에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Human beings desire continuously. However we keep doing it without any recognition of the reason and the purpose of desire until the moment we die. Jacques Lacan, french psychoanalyst, reinterpreted the issue of desire in succession to Sigmund Freud’s theory.
    Lacan has divided the world into three registers: l’imaginaire, le symbolique, and le réel. Firstly, l’imaginaire is the disarray of incomplete body images in the mirror theory that can be linked to the self disunion and narcissism. Secondly, le symbolique is linked with oppression from language and social rules. Lastly, le réel. is a realm of the residual and the essential that cannot exist nor be incorporated into l’imaginaire nor le symbolique, Within these three registers, he certified what makes the anxiety which derives desire.
    To discuss about the aspect of human desire, this study analysed two films 《Biutiful》 and 《The Revenant》, directed by Iñárritu, dealing with human’s inner aspect with Lacan’s theory. Specifically, it is focused on various representations of desire that 4 characters show through two films. For this analysis, la dialectique de l’angoisse is used for an analytic tool of 《Biutiful》, and action out and passage à l’acte relating with three registers is utilized for an analysis of 《The Revenant》. This study may help us to understand anxiety and desire of human beings and go in the right direction during the life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