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륙법계 및 영미법계 형사사법체계에 따른 검사의 역할 비교 (A Comparison of the roles of prosecutors according to the criminal justice system of continental law and Anglo-American Law)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12
42P 미리보기
대륙법계 및 영미법계 형사사법체계에 따른 검사의 역할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 13권 / 4호 / 29 ~ 70페이지
    · 저자명 : 정웅석

    초록

    형사사법제도와 관련하여, 문재인정권의 개혁을 한 단어로 정리하면 ‘검찰개혁’일 것이다. 검찰개혁의 미비로 형사사법의 모든 문제가 발생한다는 입장으로 보이지만, ‘어떻게 개혁해야 하는가’라고 물으면 돌아오는 대답은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검찰제도를 해체해야 한다거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설치해야 한다는 등 총론적인 논의만 있을 뿐 각론적인 내용이 없다.
    문제는 범죄척결을 위한 국가수사체계(형사사법체계)를 구성하는 소추절차(기소․불기소 결정)에 대해서는 영미법계 국가와 대륙법계 국가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전자는 쉽게 기소하고 재판에 보내는 구조인 반면, 후자는 소추절차의 적정성은 재판절차를 통하여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수사절차의 적정성을 사후에 재판절차를 통하여 통제한다는 것은 명백히 한계가 있으므로 소추권을 갖고 있는 검사에게 수사절차를 통제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소는 물론 불기소 사유의 대부분이 ‘혐의없음’인데, ‘혐의없음’ 중 ‘증거불충분’은 법률가가 판단해야 하는 규범 영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사제도를 갖고 있는 대부분의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검사에게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감독권자(수사주재자)로서의 지위를 맡기고 있다.
    그런데 어떤 사법체계를 따르더라도 형사사법제도는 국가형벌권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작용을 수반하여 국민의 권익과 직결되어 있고, 제도의 특성상 불완전하게 설계될 경우 이를 바로잡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동안 대륙법계 사법체계를 따르고 있었던 우리나라 형사사법구조상 검사의 사법적 통제가 적정하게 행사되고 있는지 여부가 우리나라 형사사법절차의 적정한 운용을 판가름하는 시금석임에도 불구하고, 특수부를 중심으로 한 검찰의 일부 직접수사 폐해로 인해 국가수사체계의 단골메뉴로 검찰개혁이 논의된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문제는 사법개혁이라는 미명 하에 형사소송법이 개정되었지만, 사건의 상당부분이 사법경찰관리에 의해 수사되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외면한 채, 사법경찰관에게 수사종결권까지 부여한 것은 대륙법계는 물론 영미법계 사법체계와도 다른 변형적 구조라는 점이다.
    결국 입법의 전제조건으로 우리나라 형사사법체계를 영미법 체계로 할 것인지 아니면 대륙법 체계로 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한 후, 만약 수사도 영미법 체계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영미의 사법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대륙법 체계를 고수한다면 검찰의 사법기관성을 더 강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종국적인 해결방안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Regarding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reform of the Moon Jae-In regime would be 'prosecution reform' in one word. It seems that all problems of criminal justice arise due to the lack of prosecution reform, but the answer is only general discussions such as dismantling the prosecution system with Unlimited power or establishing a high-ranking government criminal investigation office.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Anglo-American and continental law countries in the prosecution procedure (decision of prosecution and non-prosecution) that constitutes the national investigation system (criminal justice system) for crime eradication. The former is a structure that easily prosecutes and sends to trial, while the latter can be controlled through trial procedures, but there is a clear limit to controlling the appropriateness of investigation procedures through post-trial procedure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reasons for non-prosecution as well as prosecution are "no charges," and "not enough evidence" among "no charges" is a normative area that lawyers must judge. Therefore, in most continental legal countries that have a prosecutor system, prosecutors are entrusted with the status of investigative command and supervisory authority (investigation subject) for judicial police management.
    However, no matter what judicial system is followe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s directly related to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right to punishment,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system, it is difficult to correct it. Therefore, it is undeniable that the reform of the prosecution was discussed as a regular menu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system due to some direct investigation by the prosecution centered on the special department, although the judicial control of prosecutors is properly exercised. The problem is that although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revised in the name of judicial reform, it is a transformative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British and American judicial system that granted judicial police officers the right to terminate the investigation, ignoring the reality of Korea.
    In the end, if the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is to be an Anglo-American legal system or a continental legal system as a prerequisite for legislation, and then if the investigation is to be changed to an Anglo-American legal system, the Anglo-American judicial system should be fully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is adhered to, it seems that the ultimate solution is to find a way to further emphasize the judicial institution of the prosec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