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참동계』에 나타난 신체관과 양생사상 (The Viewpoint of Body and Thought of Health Caring on Zhouyi cantung qi(『周易參同契』))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5.12
18P 미리보기
『주역참동계』에 나타난 신체관과 양생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78호 / 241 ~ 258페이지
    · 저자명 : 김부찬

    초록

    동한시대 위백양(魏伯陽)의 저술로 알려진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는 도교 내단적 주석가들에 의하여 단전수련의 교과서로 추앙되는 저술이다. 이 책에는 주역의 원리와 통치의 근본 및 마음과 육체의 수련을 밝히고 있다. 또한 성명쌍수(性命雙修)의 기본적인 원리를 밝히고 있어서 도교 단학파의 사상을 집대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불․선(仙)을 통섭하고 있다.
    이러한 『주역참동계』에 대한 주석서들은 중국은 물론 많은 저술이 있으며, 조선시대 서명응의 『참동고(參同攷)』와 권극중의 『주역참동계주해(周易參同契註解)』 등이 있다. 비록 왕필(王弼)의 출현 이후 상수학(象數學)에 대한 비판적 분위기가 고조되기도 하였지만, 중국과 한국에 있어서 『주역참동계』의 영향은 지속되었다. 현재 『주역참동계』에 대한 연구물들은 역학과 도교 및 한의학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체육철학의 분야에 있어서는 아직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체육학의 한 분야인 체육철학은 근래 한국체육학계에 있어서 중요한 학문분야로 정립되어가고 있지만 그 주된 이론체계는 서양철학의 이론에 바탕하고 있다. 따라서 동양의 체육철학의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유교 및 불교 및 도교의 인간관과 심신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주역참동계』는 양생사상의 원류라 할 수 있는 단학의 체계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요청에 잘 부합되는 저술이라 하겠다.
    본고는 체육철학의 관점에서 『주역참동계』에 담긴 신체관과 양생사상이 무엇인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저술을 중심으로 하여 인간의 신체와 마음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양생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신체관과 양생사상의 특징은 무엇이며, 그 체육철학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영어초록

    The Zhouyi cantung qi(『周易參同契』), written by Wei Boyang(魏伯陽) in the period of the Eastern Han, is the revered book within the Neidan Taoism(Inner alchemy) trainees as a textbook on danjeon, lower part of the abdomen, training. This book determines the principle of Zhouyi(『周易』), the basis of reign and the training of body and mind. It reveals the basic principle of cultivation of both inner nature(性) and fate(命). So it integrates the Taoistic thoughts of Danhak sect as well as combining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re are many commentaries on Zhouyi cantung qi(『周易參同契』) in China. In Joseon dynasty, there are Cantung qiao(『參同攷』) by Seo-Myeongeung and Zhouyi cantung qi zhujie(『(周易參同契註解)』) by Gweon-Geukjung and so on. Although the critical mood on Hsiang-shu-hsueh(象數學) had been heightened after the appearance of Wang Bi, the affects of Zhouyi cantung qi(『周易參同契』) on China and Korea had been continued. Nowadays the researches on Zhouyi cantung qi(『周易參同契』) has been achieved in the field of Yi science(易學), Taoism and Korean medicine, but meager in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The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a field of physical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study field, but its major theory system is based on the western philosophy. So we need to research the viewpoint of human, body and mind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 establish the theory of eastern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Zhouyi cantung qi(『周易參同契』), the headstream of the thought of health caring, is accorded with the need, because the book revealed the system of Danhak(丹學).
    This paper tried to draw the viewpoint of body and thought of health caring on Zhouyi cantung qi(『周易參同契』) in the angle of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And I looked at the meaning of body and mind of human and investigated the concrete contents of health caring on the ground of the book. I also inqui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point of body and thought of health caring and the meaning of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