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申景濬의 『莊子』 <양생주>편 해석에 대하여-구조와 주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About Shin Gyeong-Jun’s Interpretation of Yang Sheng Zu Chapter in Chang-tzu: Focusing on Awareness of Composition and Them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5.09
25P 미리보기
申景濬의 『莊子』 &lt;양생주&gt;편 해석에 대하여-구조와 주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44권 / 44호 / 101 ~ 125페이지
    · 저자명 : 김남형

    초록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旅菴 申景濬(1712~1781)의 『文章準則莊子選』 <養生主>편의 구성과 주제에 대한 저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집필된 것이다.
    일정한 편폭으로 구성된 특정 문장에 대한 分段은 해당 문장에 구현된 작가의식 및 그 구현 방식에 대한 분단주체의 시각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신경준은 ‘養生主’라는 편명을 ‘삶을 주재하는 것을 기른다’라는 뜻으로 해석하였으며, 곽상, 임희일, 박세당, 한원진 등 역대 『莊子』주석가들과는 달리 <양생주>편을 5단락으로 분단하고, 전편의 주제 형성에 기여하는 각 단락의 역할을 논리정연하게 해명하였다. 즉 신경준은 각 단락의 요지를 ‘양생의 기본 원칙’, ‘養生[形]의 최종적 목표인 養神의 요결’, ‘養形을 잘못한 사례’, ‘養神을 잘못한 사례’, ‘최선의 養神法’으로 인식하고, 장자의 養神論이라는 관점에서 <양생주>편의 주제를 해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신경준은 장자의 사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성리학의 心性論을 <양생주>편 해석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신경준의 <양생주>편 해석은 이전의 『장자』 주석서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독창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uthor’s awareness of the composition and theme of ‘Yang Sheng Zu’ Chapter in ‘MunJangJunChik JangJaSeon’ by Yeoam Shin Gyeong-Jun(1712~1781), a Silhak scholar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Division for a specific sentence composed of constant length is closely related to author`s consciousness implemented in the sentence and sight of division subject for the implementation way. Shin Gyeong-Jun interpreted the title ‘Yang Sheng Zu’ as the meaning of ‘raising things controlling life’ and unlike previous ‘Chang-tzu’ commentators such as Gwak Sang, Im Hui-il, Park Se-dang, Han Won-jin etc., he divided ‘Yang Sheng Zu’ Chapter into 5 paragraphs and logically explained the role of each paragraph contributing to the theme formation of the whole book. That is, recognizing the point of each paragraph as ‘Basic principles of Yang Sheng’, ‘Key to Yangsin, the final goal of Yang Sheng[type]’, ‘Wrong cases of Yanghyung’, ‘Wrong cases of Yangsin’, ‘Best Yangsin method’, Shin Gyeong-Jun explains the theme of ‘Yang Sheng Zu’ Chapter from the point of view of Chang-tzu’s Yangsin theory. In this process, Shin Gyeong- Jun applied the mind theory of neo-Confucianism to the interpretation of ‘Yang Sheng Zu’ Chapter based on the positive awareness of Chang-tzu’s ideology.
    This Gyeong-Jun;s interpretation of ‘Yang Sheng Zu’ Chapter is determined to have creativity totally different from previous ‘Chang-tzu’ comment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