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申景濬의 莊子 「逍遙遊」편 해석에 대하여: 체제와 주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About the Interpretation of Shin Kyeongjun’s 『Zhuangzi』 「Happy Wandering」 Section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system and subject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6
31P 미리보기
申景濬의 莊子 「逍遙遊」편 해석에 대하여: 체제와 주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63호 / 159 ~ 189페이지
    · 저자명 : 김남형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의 저명한 실학자 여암旅菴 신경준申景濬(1712~1781)의 『장자莊子』 주해서인 『문장준칙장자선文章準則莊子選』 소요유逍遙遊편의 주해 내용을검토하여 이편의 체제와 주제에 대한 저자의 인식을 점검하기 위하여 집필된 것이다.
    Ⅱ장에서는 신경준의 소요유 편 해석이 지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석가 곽상․임희일․박세당․한원진의 소요유 편 분단分段 체제와 이편의 주제에 대한 인식내용을 개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신경준의소요유 편 분단체제와 주제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신경준은 박세당과 한원진의견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편제扁題해석에서 이편의 주제로 인식해왔던 ‘소요逍遙’ 의 위상을 무시하고 전편을 11단락으로 분단分段하였다. 신경준은 이편의 핵심적 논제는 ‘큰 것과 작은 것의 차이’라고 판단하고 그것은 장자 자신의 도道가 광대하고 크게 쓸모가 있음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나아가 신경준은 장자가 추구한 도道의 체體와 용用이 내포하고 있는 현실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함으로써 장자의 사상에대한 진일보한 논의의 장을 열었다. 그러나 소요유 편 해석에 유가적儒家的 시각이지나치게 개입하여 장자의 본의를 왜곡하거나, 잘못된 해석을 하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남기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to review the annotation contents of 『Munjangjunchik Jangjaseon』 Happy Wandering section, the 『Zhuangzi』 commentary of Yeoam Shin Kyeongjun(1712~1781), a prominent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hapter Ⅱ, we took a general view of the division system of Happy Wandering section of Gwak Sang․Im Hui-il․Park Se-dang․ Han Won-jin, leading commentators in China and Kore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of Shin Kyeongjun’s Happy Wandering section and perception of the topic of this section. Based on this, we reviewed the annotation contents of Shin Kyeongjun’s Happy Wandering section around the perception of the division system and topic in Chapter Ⅲ. Selectively accepting Park Se-dang and Han Won-jin’s views, Shin Kyeongjun ignored the status of ‘wandering’ that has been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this section in organization interpretation and divided the whole book into 11 paragraphs. Identifying the key topic of this section as a ‘difference between big one and small one’, Shin Kyeongjun recognized that it is to reveal his morality is generous and significantly useful. Furthermore, Shin Kyeongjun opened the venue for further discussion about Zhuangzi’s thought by specifically mentioning the realism involved in principle and application pursued by Zhuangzi. However, he also left some problems such as intentional distortion, interpretation errors of Zhuangzi due to Confucian views in the inrtepretation of Happy Wandering s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