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일 기관에서 대장종양 치료로 시행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의 유용성과 안전성 (The Efficacy and Safety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Colorectal Neoplasms: Single Center Study)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9.09
7P 미리보기
단일 기관에서 대장종양 치료로 시행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의 유용성과 안전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수록지 정보 : Clinical Endoscopy / 39권 / 3호 / 136 ~ 142페이지
    · 저자명 : 서혜진, 조광범, 이홍석, 김은수, 장병국, 박경식, 정우진, 황재석, 이석근

    초록

    목적: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위장관의 점막에 국한된 조기암 치료에 널리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장에서의 점막하 박리술에 대한 유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다.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대장 종양의 치료로써 시행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 그 유용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08년 9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한 대장의 전암성 및 조기 대장암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고 의무기록을 통해 이들의 임상 특징, 내시경 소견, 일괄절제 및 완전절제율, 그리고 합병증 발생 여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47명의 환자로부터 50예의 병변에서 시술을 시행하였다. 병변의 육안 형태는 측방 발육형 종양이 44예(88%)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 6예(12%)는 융기형이었다. 일괄절제율 및 완전절제율은 각각 76%, 74%이었다. 시술 시간은 평균 81.1± 44.7 (20∼180)분이었고 절제 병변의 크기는 평균 26.9±10.4 (10∼50) mm이었다. 시술 후 조직학적 진단으로 샘종 24예(48%), 점막내샘암종 18예(36%), sm1 선암종 7예(14%), 그리고 sm2이상 병변 1예(2%)이었으며 시술 전후의 진단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일치율은 47%이었다. 출혈은 6예(12%), 천공은 13예(26%)에서 발생하였으나 모두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결론: 대장 종양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높은 절제율과 안전성으로 유용한 치료법일 뿐만 아니라 진단 목적으로도 의의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많은 증례와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is not commonly used in the colorectal area because of technical difficulty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 We therefore wanted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afety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colorectal neoplasms.
    Methods: Colorectal tumor lesions resected by ESD in a single medical center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47 patients were treated for 50 lesions. Mean age was 64.3±9.8 (43∼85) years. Laterally spreading tumors were the most common type (44, 88%) followed by Is+IIa type tumors (6, 12%). The en bloc resection rate was 76% and the complete resection rate was 74%. The mean procedure time was 81.1±44.7 (20∼180) minutes. The mean size of resected specimen was 26.9±10.4 (10∼50) mm. The histological diagnosis determined that 24 lesions (48%) were tubular adenoma, 18 lesions (36%) were intramucosal cancer, 7 lesions (14%) were sm1 cancer and 1 lesion (2%) was over sm2 cancer. Bleeding occurred in 6 (12%) and perforations in 13 (26%) of the patients and all were treated successfully by endoscopic or conservative treatment. The concordance rate of pre and post ESD pathological diagnosis was only 47%.
    Conclusions: ESD is a feasible technique for treating superficial colorectal tumors with a high complete resection rate, minor invasiveness, and a high safety rate. In addition, ESD might be useful in establishing the complete pathological evaluation of colorectal epithelial neopla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linical Endoscop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