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재 전우의 수양론에 관한 소고 ― 성사심제에 기반한 경(敬)의 실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ltivation Theory by Jeon Wu)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2.05
30P 미리보기
간재 전우의 수양론에 관한 소고 ― 성사심제에 기반한 경(敬)의 실천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73호 / 215 ~ 244페이지
    · 저자명 : 강보승

    초록

    간재 전우 연구는 화서․노사․한주학파의 성리설과 비교를 통한 이기․심성론 위주로 이루어져 학문의 연원과 논리적 특징을 밝히는 데에 공헌하였으나, 실천가로서 그의 면모를 밝히는 데에는 소홀하였다.
    간재는 심시기(心是氣)를 주장하면서 기의 본선함과 본일성(本一性)을 강조하였다. 리를 준거로 기의 순수성을 확보, 유지하는 것을 수양의 핵심으로 파악하였고 ‘성사심제(性師心弟)’를 주장하여 수양의 심성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기는 선악을 겸하여 리를 언제나 온전히 드러낼 수 없는 문제가 생기므로 이의 해결을 위해 간재는 심 곧 기의 순수성을 담보하여 도덕 주체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간재의 이러한 주장은 리와 기의 무분별을 의미하지 않는다. 성을 리, 심을 기로 보고 기가 리에 따라 자신을 실현시켜야 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간재는 율곡의 이통기국에 의한 이기의 구분을 엄격히 하였다. 이것이 성을 기준으로 심을 통제하는 간재 성사심제설의 이론적 배경이다.
    불완전한 도덕 주체인 심이 언제나 성을 지각하고 배워서 일신을 주재해야 한다는 간재의 심성 인식은 도덕 주체 확립을 위한 ‘심본성(心本性)’, ‘성사심제’로 응축․귀결되어 심성론의 중추가 된다.
    간재는 성이 심의 준거가 되고 심이 일신의 주재가 되듯 경이 심을 주재해야 한다고 하면서, 경 없이는 ‘심본성’을 실현할 수 없다고 한다. 기질변화를 수양의 핵심 과제로 제시한 간재는 율곡과 같은 입장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경을 강조하고 치지, 구방심, 야기함양, 독서, 정좌를 통한 수양의 삶을 보면 퇴계의 수양론을 따랐다고 볼 수도 있다. 「시동서사의」에도 퇴계의 길을 걷고자 하였던 간재의 일상과 수양이 잘 드러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of jeon Wu (1841-1922, pen name Ganjae) was mainly conducted on on ontology and psychology through comparison with the theories of Huaseo, Nosa, and Hanju schools. Thes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finding the logical characteristics of Ganjae's studies. However, it was not well studied how Ganjae practiced Confucian philosophy.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Ganjae's philosophy centering on cultivation theory.
    Ganjae argued that "Heart is qi(氣)." And it was emphasized that qi was originally good and unified as one. Ganjae identified keeping qi pure as the core of Confucian practice with li(理) as the standard. Therefore, he argued the theory that 'the human nature is a teacher and the mind is a student'.
    Ganjae's argument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li and qi. Ganjae recognized human nature as li and mind as qi, and saw that qi should emulate li, which was the same as Yulgok's theory. Therefore, Ganjae argued that incomplete 'heart' should always be led by recognizing and learning 'human nature'. Ganjae made this argument because he wanted people to develop inner power to do moral behavior.
    Ganjae argued that nature should be the standard of the mind, the mind should be the standard of the body, and that Kyung(敬) should lead the mind. This is because without Kyung, the mind is disturbed and human nature cannot be the standard of the mind. Ganjae agreed with Yulgok's view and argued that individual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hanged. However, Ganjae also emphasized Kyung, and he always practiced acquiring knowledge, controlling his mind, restoring his pure body and mind through rest, reading, and sitting still and upright, so it can be said that he followed the training method suggested by Toeg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