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安宅符·鎭宅符에 대한 연구 - 『魯班經』의 「祕訣仙機全書」를 중심으로 - (Study on Antaekbu(安宅符) and Jintaekbu(鎭宅符) - focused on 「Bigyeolseongijeonseo(秘訣仙機全書)」 of the 『Nobangyeong(魯班經)』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03
32P 미리보기
安宅符·鎭宅符에 대한 연구 - 『魯班經』의 「祕訣仙機全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88호 / 335 ~ 366페이지
    · 저자명 : 조인철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건축부(建築符) 즉 안택부(安宅符)와 진택부(鎭宅符)의 종류와 표현방식을 살펴보고, 그 쓰임새와 상징적 의미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우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부(符)는 건축과 관련된 고전으로서 『노반경(魯班經)』의 내용 중 「비결선기전서(秘訣仙機全書)」에 있는 것과 그 외 국내외 답사를 통한 실제적 사례이다. 건축부를 「비결선기전서」를 중심으로 판단해보면, 길상부(吉祥符)인 초복부(招福符)는 천관사복(天官賜福)과 부(富)를 담당하는 쌍전(雙錢), 귀(貴)를 담당하는 묵필(墨筆)이 있고, 그 외 일선(一善), 계엽(桂葉), 송(松), 죽엽(竹葉) 등이 있다. 한편, 벽사부(辟邪符)로서 귀신불침부(鬼神不侵符)에 해당하는 것은 강태공재차(姜太公在此), 구천응원뢰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이 있다. 재액소멸부(災厄消滅符)에는 와장군(瓦將軍), 태산석감당(泰山石敢當), 수패(獸牌), 백호경(白虎鏡)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건축부로서 특이한 사항은 장인부주류(匠人符呪類)로서 재액유발부(災厄誘發符) 또는 저주부(咀呪符)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장인부주류의 27개중 18개가 저주부에 해당한다.
    그 외 「비결선기」에는 소개되지 않았지만, 목조건축의 화재의 취약성에 대비하여 수기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수자은전(水字銀錢), 임계수(壬癸水) 등의 부(符)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ypes and expressions of ‘architectural charms(建築符, charms used in architecture)’, which includes ‘Antaekbu(安宅符, charms for comfortable home)’ and ‘Jintaekbu(鎭宅符, charms for stable home)’, and to analyze their usage and symbolic meaning.
    First, the charms(符) that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hose found in the 「Bigyeolseongijeonseo(秘訣仙機全書)」 of the Nobangyeong(魯班經) , a traditional architectural text, as well as actual example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ips.
    Examine architectural charms based on 「Bigyeolseongijeonseo」, ‘Chobokbu(招福符, charms to bring blessing)’ which is ‘Gilsangbu(吉祥符, charms to bring good luck)’ includes ‘Cheongwansabok(天官賜福, charms that bestow blessings)’, ‘Ssangjeon(雙錢, two coins)’ for wealth(富), ‘Mukpil (墨筆, ink and pencil)’ for honor(貴), ‘Ilseon(一善, to do a good deed)’, ‘Gyeyeop(桂葉, bay leaf)’, ‘Song(松, pine)’, and ‘Jugyeop(竹葉, bamboo leaf)’.
    On the other hand, the charms that correspond to ‘Gwisinbulchimbu(鬼神不侵符, charms to ward off ghosts)’, which is ‘Byeoksabu(辟邪符, charms to ward off evil spirits)’, are ‘Gangtaegongjaecha(姜太公在此, charms that marks Gangtaegong’s existence)’ and ‘Gucheoneungwolloeseongbohwa- cheonjon(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Jaeaeksomyeolbu(災厄消滅符, to ward off disaster and bad luck)’ contains ‘Wajanggun(瓦將軍, a General made of Giwa(roof tile)’, ‘Taesanseokgamdang(泰山石敢當)’, ‘Supae(獸牌, sign of tiger pattern)’, and ‘Baekogyeong(白虎鏡, reflecting mirror)’.
    A peculiar finding emerged during the examination of the architectural charms in the study was the existence of ‘Jaeaeksomyeolbu(災厄消滅符, to ward off disaster and bad luck)’ and ‘Jeojubu(咀呪符, charms to curse)’, which are ‘Janginbujuryu(匠人符呪類, charms made by carpenter)’. Of the 27 ‘Janginbujuryu(匠人符呪類), 18 are ‘Jeojubu(咀呪符)’.
    Apart from 「Bigyeolseongijeonseo(秘訣仙機全書)」, the study found that there are charms such as ‘Sujaeunjeon(水字銀錢, silver coin that carved the letter 水(water))’, and ‘Imgyesu(壬癸水, water energy of Im(壬) and Gye(癸) among Heavenly stem(天干))’ that can be used to vitalize water energy to prepare for the vulnerability of wooden architecture to f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