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소제조기업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 경로에서 외부환경 격변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al Turbulence toward the Path between the Open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SM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6
21P 미리보기
중소제조기업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 경로에서 외부환경 격변성의 조절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경영연구 / 23권 / 3호 / 77 ~ 97페이지
    · 저자명 : 조연성

    초록

    본 연구는 중소 제조기업 수출성과에서 개방형 혁신과 조직혁신 역량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한국 중소 제조기업 150개를 대상으로 개방형 혁신, 조직혁신, 수출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외부환경 요인과 개방형 혁신의 조절효과를 포함하여 혁신과 외부환경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 따라 개방형 혁신을 외부 기술과 지식 습득의 적극성으로 보았으며, 조직혁신은 제품혁신 역량과 공정혁신 역량으로 나누어 보았다. 외부환경 특성은 기술 격변성과 시장 격변성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6개의 잠재변인을 22개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조절효과를 포함한 8개 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가설검정을 진행하였으며, PLS(Partial Least Square)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형 혁신은 중소 제조기업의 제품혁신 역량과 공정혁신 역량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제품혁신 역량과 공정혁신 역량은 또한 중소 제조기업 수출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검증에서 개방형 혁신과 기술 격변성의 조절효과는 제품혁신 역량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반면, 시장 격변성과의 조절효과에서는 제품혁신 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중소기업 자원 제약을 고려할 때 기술 변화가 빠른 환경에서 과도한 외부기술 지식 습득 활동이 도움이 되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다른 결과에 따른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 한계 및 앞으로 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the export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SMEs and further examines the moderation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 two factors(technological turbulence and market turbu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 innovation and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First,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existing studi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 innov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o the SMEs innovative capability. Second, this study will try to prese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open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of manufacturing SMEs to the export performance. Third,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ole of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terms of dividing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into the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research model in which integrate three components such as the open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external turbulence was proposed. For the empirical test, this study used 22 items to measure 6 latent variables. The sample was extracted from the firm lists of Korea Trade Investment Promotion Agency(KOTRA) and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KCCI). The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Google Docs. Survey duration was four months. After completing survey 1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anufacturing. This study proposed total 8 hypotheses including moderating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turbulence and open innovation.
    The result of analysis has shown that for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on the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and process innovation capability, both coefficient valu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has shown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SMEs and the process innovation capability has shown same result. For the hypotheses about moderating effects of the external environmental turbulence, path coefficient value of it between the open innovation and the technological turbulence has shown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t showed that excessive open innovation activity did not support the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when considering the resource constraints of SMEs in the technological turbule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pen innovation and the market turbulence has shown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he rest moderating effects was found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business implications. First, this research has a theoretical implication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open innovation as it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turbulence.
    Second, this study suggests a business implication to the Korea manufacturing SMEs. SMEs entering into the foreign market have to pursue open innovation activity for developing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But manufacturing SMEs need to focus on opt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limited resources than to pursue an unreasonable changes to existing products when there is a igher condition of the technological turbulence Thirdly, the result of hypotheses testing, this research provide another business implication that manufacturing SMEs have to develop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to actively cooperate with local partners if the market turbulence was hig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