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수환 추기경의 ‘세상을 위한 교회’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관의 한국적 수용 (Cardinal Stephen Kim Sou-hwan’s “Church for the World” - The Korean Church’s Acceptance of the Ecclesiolo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12
49P 미리보기
김수환 추기경의 ‘세상을 위한 교회’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관의 한국적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42호 / 7 ~ 55페이지
    · 저자명 : 박승찬

    초록

    코로나 19 사태 때문에 전 세계가 유례없는 혼란을 겪으면서, 진정한 종교의 역할과 한국교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었다. 고(故) 김수환 추기경의 글 안에서 이런 질문에 대한 중요한 대답을 찾을 수 있다. 김 추기경은 특히 진정한 교회의 모습이나 교회 쇄신을 설명할 때면 어김없이 ‘교회 쇄신’이 관건이었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인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수환 추기경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관을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했는가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김 추기경 자신이 여러 글에서 구체적으로 인용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을 교회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재구성해 보았다.
    김수환 추기경은 공의회 이전 교회관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트리엔트 공의회가 16세기의 종교개혁운동으로 말미암아 야기된 혼란을 극복하느라 진정한 교회의 모습을 위축시켰다고 지적한다. 가시적인 위계제도를 강조하느라 영적 공동체로서의 성격이 후퇴하고, 성직자와 평신도 사이에는 심한 신분적 차별이 생겼다. 따라서 김 추기경에 따르면, 교회가 현대 세계 안에서 참으로 자신의 사명을 재발견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공의회는 반드시 있어야만 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대표적인 교회 개념으로 김 추기경은 「교회 헌장」을 중심으로, ‘일치의 성사’, ‘하느님의 백성’,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의 교회관을 강조한다. 특히 ‘하느님의 백성’에 평신도만이 아니라 성직자와 수도자를 모두 포함시킨 후, 평신도는 ‘세계 안에서’ 고유한 사도직을 수행해야 함을 분명히 밝힌다. 이어서 김 추기경은 공의회의 「사목 헌장」에 나타난 ‘모든 이의 구원’이라는 교회의 목적과 ‘세상을 위한 교회’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강조했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교회관에 가난한 자들을 위한 사회참여가 본질적으로 포함되며,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사랑과 대화의 원리에 충실해야 함을 강조했다. 현대의 위기 속에서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관을 새롭게 수용하여 교육하고 실천함으로써 코로나 19 이후 한국교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the world suffers unprecedented pain due to the COVID-19 outbreak, fundamental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role of relig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Korean church should be heading. The important answer to these questions can be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late Cardinal Stephen Kim Sou-hwan. Cardinal Kim cites the Second Vatican Council, where “church reform” was key, especially in the identity of the church.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discuss how Cardinal Kim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ecclesiology of the Council. To this end, I have systematically reconstructed the quotations from Second Vatican Council literature that have been cited by Cardinal Kim in his writings .
    Cardinal Kim critically reflects on the concept of the church before the Council, pointing out that the Council of Trent had reduced the role of the true church in overcoming the chaos caused by the Reformation movement in the sixteenth century. In emphasizing the visible hierarchy, the role of the spiritual community receded, and there was discrimination against the layperson due to their status relative to the clergy. Therefore, according to Cardinal Kim, the Council was necessary for the church to rediscover itself and fulfill its mission.
    Cardinal Kim emphasizes the view of the church represent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 a “sacrament of unity,” “the people of God,” and “the mystical body of Christ” by focusing on the Lumen Gentium. Importantly, not only laymen but also priests and monks are included in the “people of God.” It is clear that the layperson faithful must fulfill their own apostolate “in the world.” Cardinal Kim also stresses the purpose of the church, as it appears in the Council’s Gaudium et Spes, which he sees as “the salvation of all,” and its new identity as the “church for the world.” Based on this view, he stresses that the new ecclesiology includes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oor and that to achieve this, one must be faithful to the principles of love and dialogue. Even in the midst of the COVID-19 crisis, we hope that the Korean church will move in the right direction after the pandemic is over by accepting, teaching, and practicing the ecclesiolo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