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능가경』의 불신관(佛身觀)에 대한 고찰 -유가행 유식학파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the Lengjia jing’s Buddha-body View -Focusing on Its Correlation with the Yogâcāra School’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12
40P 미리보기
『능가경』의 불신관(佛身觀)에 대한 고찰 -유가행 유식학파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31호 / 197 ~ 236페이지
    · 저자명 : 신돈각(돈각)

    초록

    본고는 『능가경』의 불신관(佛身觀)에 대하여 유가행 유식학파와의 상관성을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능가경』과 유가행 유식학파의 불신관에 대한 상관성을 고찰한 선행 연구는 없다. 『능가경』은 유식사상과 관련하여세친(世親) 이전의 편찬과 이후의 편찬으로, 주장이 나뉘어 논쟁되고 있는 경전이기도 하다.
    유식학파의 주요 논서인 대승장엄경론·섭대승론·성유식론·섭대승론석·불지경론에 의하면, 유가행 유식학파의 불신관은 자성신이 수용신과 변화신의 의지처로서, 일체법의 평등하고 진실한 성품, 즉 자성(自性)의 법신을의미한다. 수용신은 법락(法樂)을 받아 수용하는 자리(自利)의 자수용(自受用)과지상(地上)의 보살들에게 법락(法樂)을 누릴 수 있게 향수(享受)하는 이타(利他) 의 타수용(他受用)으로 분리된 형태를 보인다. 수용신은 보신불을 의미한다. 그리고 변화신은 지전(地前)보살과 이승(二乘), 그리고 범부를 교화하는 화신불이다. 이러한 유가행 유식학파의 불신관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수용(受用)과 향수(享受)의 불신인 수용신에 중점을 둔 불신관이다.
    반면,능가경은 법신(法身)이 보신(報身)과 화신(化身)을 통해 직접 광명으로 나투어 교화한다. 법신을 근본으로 보신은 색구경천에서 화신은 색신을 통해 이승과 범부 중생을 교화한다. 그리고 경전상의 많은 부분에서 법신 중심의 불신관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능가경』의 불신관은 법신이 교화의 주체적 불신으로 묘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능가경』의 불신관에서 유가행 유식학파의 불신관과 상응되는 내용이 다소 보이고 있다. 또한 불신의 명칭도 자성신· 수용신·변화신으로 유가행파와 동일하게 호칭하는 게송을 설하고 있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essay aims to investigate the buddha-body view of the Lengjia jing, focusing on its correlation with that of the Yogâcāra School of Indian Buddhism. It seems that there is no previous study on this topic. The Lengjia jing is a sutra in Chinese which is still debated as to whether it was compiled before Vasubandhu or after Vasubandhu.
    According to the Yogâcāra school’s major treatises such as the Dasheng zhuangyanjing lun (Mahāyāna - sūtrâlaṃkāra), the She dasheng lun (Mahāyāna - saṃgraha - śāstra), the Cheng weishi lun (Vijñaptimātratāsiddhi - śāstra), the She dashenglun shi(Mahāyāna - saṃgraha - bhāṣya), and the Fodi lun(Buddhabhūmisūtra - śāstra), the school’s buddha-body view is as follows. The self - natured body, serving as the supporting basis that both the reward body and the transformation - body rely on, means the dharma - body of self nature, namely the nondiscriminatory, true, and inherent nature of all things.
    The enjoyment body is manifested in two separate forms: one is the ‘self enjoyment’(a buddha’s enjoyment of his own enlightenment) indicating the aspect of self - benefit and the other is the ‘other enjoyment’(buddha’s extention of enjoyment to bodhisattvas) indicating the aspect of benefiting others. The enjoyment body means the reward-body buddha, and the transformation body is a buddha incarnated in a human body for the purpose of saving the two kinds of practitioners (śrāvakas and pratyekabuddhas) and the unenlightened ordinary persons. The Yogâcāra school’s view of the buddha-body focuses on the enjoyment body that indicates the buddha - body of self-benefit and other - benefit.
    But, on the other side, the Lengjia jing states that the dharma - body saves sentient beings by directly manifesting itself in the form of radiance through the reward body and the transformation body. In this buddha - body view, the dharma - body is described as the active element of salvation. For this reason, this buddha - body view can be said to place emphasis on the dharma body. Yet the buddha-body views of the Lengjia jing and the Yogâcāra school correspond to each other in many ways. Also the Lengjia jing and the Yogâcāra school use the same name when they describe the buddha-body in their ver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