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려향약(草廬鄕約)』을 통해본 마을공동체 내 경조사(慶弔事)의 예(禮) (Etiquette for Congratulation or Condolence of Village Communities Described in Choryeohyangyak(草廬鄕約))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09
38P 미리보기
『초려향약(草廬鄕約)』을 통해본 마을공동체 내 경조사(慶弔事)의 예(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차문화산업학 / 37권 / 215 ~ 252페이지
    · 저자명 : 최배영

    초록

    본 논문은 조선후기 유학자이자 예학자였던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 1607-1684)의 저술『초려향약(草廬鄕約)』에 대한 문헌고찰을 시행한 연구이다. 이는 오늘날 많은 지자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활동의 핵심가치를 우리 고유의 생활문화에서 찾는 데 주안을 둔 것이다. 마을공동체 활동의 근간(根幹)으로서 향약의 강령과 경조사(慶弔事) 예(禮)의 연계성을 연구하여 마을공동체 내 공공의 행복을 도모하는 복지 증진에 필요한 핵심가치를 규명하고 그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데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유태의 생애와『초려향약』의 구성 성격을 살펴본 후 마을공동체 내 향약의 강령과 경조사의 예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유태는 충청오현(忠淸五賢)의 한 사람으로 당시의 사회에 많은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었다. 그는 자신의 안위나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 마을공동체 내 신분과 계층을 초월해 강학(講學)과 교육(敎育)의 중요성을 간파하였으며, 시의성(時宜性) 있는 향약의 정립과 보급을 통해 전국적으로 사회의 교화와 안정을 도모하였다. 이 같은 그의 의지는 마을공동체의 자치적 성장과 결집에 필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둘째,『초려향약』은 향약의 총칙(總則)과 범례(凡例), 향약문(鄕約文), 회집독약법(會集讀約法), 사창법(社倉法), 몽재훈계(夢齋訓戒), 학교모범(學校模範), 택사양사지규(擇師養士之規), 재규(齋規), 학궁게시(學宮揭示), 육예(六藝), 연영원(延英院)에 관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초려향약』의 구성은 위아래가 함께 향촌 조직의 내실화를 위해 노력하는 개편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으며 공동체에서 약령(約令)의 준수와 실천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유대관계를 공고히 하는 질서이자 윤리로 기능하였다.
    셋째, 마을공동체 향약의 4대 강령은 인(仁)을 도모하는 덕업상권(德業相勸), 의(義)를 지향하는 과실상규(過失相規), 예(禮)를 실천하는 예속상교(禮俗相交), 지(智)를 발휘하는 환난상구(患難相救)로 집약되었다. 이들 강령은 상호 연계성을 가지며 약원(約員)들이 마을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이정표이자 결속을 강화하는 실천규범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마을공동체 내 경조사의 예를 경사(慶事)와 조사(弔事)로 대별해보면 경사의 상황에서는 존유(尊幼)의 순서에 따라 하례(賀禮)와 사례(謝禮), 초청(招請)과 방문(訪問), 연회(宴會)의 예를 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험 합격, 발령과 승진, 관례, 혼인과 수연 등도 마을공동체가 축하하고 증유하는 길사(吉事)의 예로 이행되었다. 한편 조사의 상황에는 흉사(凶事)와 상사(喪事) 시 조문(弔問)을 하고 장사(葬事)를 도움에 있어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애도의 위로와 부의를 통해 예를 갖추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초려향약』에 나타난 향약의 강령과 경조사 예의 연계성을 토대로 볼 때 마을공동체 내 공공의 행복을 도모하는 복지 증진에 적용되는 핵심가치는 덕업으로서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정서적 측면의 인(仁), 과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정의적 측면의 의(義), 경조사가 발생하였을 때 상호간 협동을 통한 대처와 대인관계 이행에 필요한 규범적 측면의 예(禮), 근심과 재난을 극복하기 위해 소통으로 지혜를 모아 협력하고 지원하는 경제적 측면의 지(智)가 자리하고 있었다. 이는 21세기에 들어 우리 사회가 노력해나가고 있는 마을공동체 만들기에도 활용될 수 있는 핵심가치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a literature review of Choryeohyangyak (草廬鄕約, Village Codes Written by Choryeo) by Yutae Lee (李惟泰, 1607-1684), a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ose pen name was Choryeo, and explores a way to apply the core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culture to today’s community-building initiatives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s. To put it another way,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yangyak (village codes), which is the basis of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and traditional etiquette for congratulation or condolence.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e values necessary to improve the well-being of village communities and to examine what we can learn from those valu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raditional etiquette for congratulations included invitations, visits, banquets, and celebrations for passing civil servant examinations, promotions, coming of age, marriages, and birthdays for old people. Villagers offered their congratulations and gave presents to the person being honored. Secondly, traditional etiquette for condolences were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and deaths. Villagers comforted the victims of disasters or paid their respects to the deceased and helped to make funeral arrangements.
    In conclusion, the etiquette for congratulation or condolence described in Choryeohyangyak had four different aspects of village community life: emotional solidarity (caring for each other), sense of justice (carrying out their responsibility as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social norms (emphasiz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conomic benefits (sharing knowledge and wisdom and collaborating to solve problems). They were the core value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well-being of village communities and that can be useful in community-building efforts in the twenty-first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차문화산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