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의 조선음악 조식연구 초기의 전개 양상-1950년대 후반부터 2000년경까지- (Early Studies on Josik(mod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North Korea-From late 1950s to 2000)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12
39P 미리보기
북한의 조선음악 조식연구 초기의 전개 양상-1950년대 후반부터 2000년경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2권 / 19 ~ 57페이지
    · 저자명 : 김영운

    초록

    한국 전통음악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하나로 그동안 남한 학계는 전통음악 여러 장르의 음악과, 지역적 특징을 지닌 향토음악의 음조직 연구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 결과 궁중음악과 풍류방음악, 그리고 전문음악인들의 음악뿐만 아니라 토속적인 향토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악을 대상으로 음조직 이론을 논의해 왔다. 한편으로 우리 민족의 전통음악 음조직에 대한 연구는 북한 음악학계에서도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 민요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950년대 후반부터 수행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전통음악을 대상으로 하는 음조직 연구의 심화를 위하여 그 동안 북한 학자들에 의한 음조직 연구의 진행과정과 그 성과를 살펴보고, 남북한 연구자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어 향후 이 분야 연구에 깊이를 더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2000년경까지 북한에서 진행된 전통음악 음조직연구의 과정과 성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북한의 전통음악 음조직 연구는 주로 민요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핵심적 이론은 민요의 조식(mode)은 5음음계로 구성되었으며, 5개의 조식으로 대표되고, 각 조식은 3음렬(tetrachord)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 같은 이론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원흥룡․리창구의 연구가 중요한 기여를 하였음도 알게 되었다.
    또한 북한 학자들의 민요 조식 연구의 목적이 우리 민족이 지니는 민족음악의 특징을 찾기 위한 방안의 하나이며, 이러한 연구에는 전통음악을 편곡하거나 새로운 음악을 창작하기 위한 토대 구축에 실용적 목적이 있음도 알게 되었다.
    2000년경까지의 북한 민요 음조직 연구는 조식이론의 토대를 구축하는데 치중하였고, 한시형의 제안과 같이 지방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데 까지 관심을 두었으나, 민요가 지니는 지역적인 특징을 충분히 드러내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알려진 2000년 이후 북한 음악학계의 연구 성과물 중에는 민요의 지역성에 주목하여 기존의 논의를 더욱 발전시킨 결과물이 산견되는 바, 이들 연구물에 대한 분석과 남한 연구자들의 민요 음조직 연구 성과와의 비교 등을 통하여 한민족 전통음악 음조직 연구 성과를 종합하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는 다음 기회로 미루고자 한다.

    영어초록

    As part of efforts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outh Korean musicologists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studies of the tonal structure in both various genres of traditional music and indigenous music that carries regional characteristics. It naturally led to extensive academic discussions on the tonal structure of divers kinds of music ranging from court music, pungnyubang music, muisc of professional musicians to local music with regional taste. Likewise, study of tonal structure in traditional music has been one of the major academic concerns for North Korean scholars and they actually started their research on this topic focusing on folk songs from late 1950s.




    With a purpose to expand the dimension of tonal structur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y of tonal structure study carried out by North Korean musicologists and their accomplishments and conducts comparative study on works by scholar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 find common or different features. Through the study, this paper hopes to add depth to the academic perspective on this field.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and results of academic research on tonal structure of traditional music done in North Korea from late 1950s to 2000.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studies of tonal structure in North Korea have mainly been conducted on folk songs. The essential theory includes that the folk song is basically in pentatonic josik(mode) comprising five representative kinds of josik(mode). Each josik(mode) is composed of combinations of tetrachords. Won Heung-Ryong and Lee Chang-Gu, two major music scholars, are found t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It was also found that the purpose of the josik studies by North Korean musicologists was to identif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of Korean people as well as to accumulate infrastructure basis with practical use for arranging traditional music or making even new style of music.




    However, the studies of folk song tonal structure in North korea have concentrated merely on laying foundation on josik theory up until the year of 2000. Though some effort to discover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was made as seen in the academic attempt by Han Si-Hyeong, it does not yet seem to reach a meaningful achievement to reveal regional music characteristics folk songs.




    Some of the outcomes from the recent studies by North Korean musicologists published since 2000 have focused more on the locality of folk songs and consequently furthered the depth of discussion on the related topics. This naturally shows the course of future research to be done. It includes analysis on recent academic results of North Korean scholars, comparative studies on the researches on tonal structure of folk song by scholars of South and North Korea in order to put togather all the meaningful achievements of tonal structure studies on traditional music of Korean people, still trying to diagnose points to overc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