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령자 기본권 보장 법제에 대한 연구 - 경기도 및 경상북도 자치법규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guarantee of the basic rights of the elderly and the legal system – Based on the Self-governing laws of Gyeonggi-do and Gyeongsangbuk-do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고령자 기본권 보장 법제에 대한 연구 - 경기도 및 경상북도 자치법규를 바탕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연세법학 / 44호 / 363 ~ 389페이지
    · 저자명 : 장경훈, 방동희

    초록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일반 국민에게 물질적 최저생활을 보장하여 자율적 생활형성의 바탕을 마련해주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인간의 존엄성 실현을 위한 최소한의 방법적 기초로서, 경제생활에 관한 여타 기본권의 이념적인 기초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국가의 경제정책 추진 방향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헌법상 통일적 규정의 관점에서 기능적으로 파악할 때, 이는 국가의 의무로서 사회국가의 실현을 위한 국민의 구체적 권리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고령자는 자연인으로서 헌법상 갖는 일반적 기본권과 헌법의 위임에 따른 각 법률의 규정에 따라 갖는 사회적 기본권을 가진다. 사회적 기본권은 우리 헌법에서 규정하는 국가의 노인과 노령에 대한 특별한 보호의무로서, 고령자에 대하여도 특별한 보호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고령자’는 경제주체로서 사회구성원들과 대등하고 독립된 당사자 지위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고령자’의 개념은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퇴화된 사회적 약자로서의 ‘노인’ 개념과는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고 할 것이다.
    고령자의 개념이 노인의 개념으로서 신체적・정신적・경제적으로 사회적 약자로서의 관념에 치중되어 있으며, 또한 그 권리가 대부분 연령에 따라 보장되고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고령자의 사회적 기본권은 사회적 통합의 관점에서 체계와 내용이 논의되고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그에 따라 고령자 기본권 법제에 대하여 정책적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결국 초고령사회에서 고령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고령자의 사회적 기본권의 체계와 내용은 현재보다 좀 더 보편적인 관점으로 확대되어 논의되어야 한다.
    기존 노인에 대한 개념과 고령자에 대한 관점으로 인하여 노인복지 정책과 고령자 정책추진에 있어 혼선이 발생하고, 이는 고령자 기본권 보장 법제의 혼선 및 중복 문제로 이어지며, 결국 고령자 기본권의 체계적 보장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고령자 기본권 보장을 위한 체계를 구축한다는 관점에서 각 법제가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본법 형태의 법률을 제정하기 위한 논의 및 입법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령자 기본권 보장에 대한 기본법 체계에서 자치법규에 대한 포괄적 위임규정을 마련하여 각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이고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고령자 기본권 보장 자치법규 제・개정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자치입법권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right to live a humane life’ has the meaning of providing the basis for forming an autonomous life by guaranteeing the general public a minimum material standard of living. ‘The right to a humane life’ is the minimum methodological basis for realizing human dignity and means the ideological basis of other basic rights related to economic life. Accordingly, the ‘right to live a humane life’ i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country’s economic policy. Therefore, when ‘the right to a humane life’ is understood functio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fied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understand it as a duty of the state and a specific right of the people for the realization of a social state.
    As a natural person, elderly people have general basic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and basic social rights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each law delegated by the Constitution. Basic social rights are a special duty of protection for the elderly and the elderly as stipulated in our Constitu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special duty of protection for the elderly as well.
    ‘Elderly people’ should be understood as economic subjects who are equal to and independent of members of socie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 of ‘elderly people’ has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concept of ‘old people’ as socially vulnerable people with deteriorate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The concept of the elderly is focused on the idea of ​​the elderly as physically, mentall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in society, and most of their rights are guaranteed based on age. As seen above,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 basic social rights of the elderly must be discussed and structur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tegration,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make policy improvements to the basic rights legislation for the elderly. Ultimately, as the elderly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elderly in a super-aging society,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 basic social rights of the elderly must be expanded and discussed from a more universal perspective than at present.
    Due to the existing concept of the elderly and perspectives on the elderly, confusion arises in the promotion of elderly welfare policies and policies for the elderly. This leads to confusion and duplication of laws protecting basic rights for the elderly. Ultimately,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guarantee the basic rights of the elderly.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 system to guarantee the basic rights of the elderly, there should be discussion and consideration of legislation to enact a basic law that allows each legal system to operate organically. In addition, in the basic legal system for guaranteeing the basic rights of the elderly, comprehensive delegation provisions will be established for autonomous laws and regulations, allowing each local government to autonomously revitalize regulations and revisions of the Autonomy Act for the Security of basic rights of the elderly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this way,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will have to be expa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