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지피복 변화 기반의 자연환경 훼손지역 탐색: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Identifying of Damaged Area based on Land Cover Change for Nature Restoration: Focused on Seongnam C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06
25P 미리보기
토지피복 변화 기반의 자연환경 훼손지역 탐색: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정책 / 32권 / 2호 / 131 ~ 155페이지
    · 저자명 : 이길상, 손승우

    초록

    기후위기 대응 및 생물다양성 증진 방안의 하나로 자연환경복원이 부각되면서 국내외적으로 자연환경복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GBF(Global Biodiversity Framework)와 NBSAP(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ction Plan)에서는 2030년까지 자연환경복원의 목표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자연환경 훼손지역의 발굴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자연지역(산림, 초지, 습지)이 기타초지・기타나지로 변화된 지역을 대상으로 합법적 개발과 토지의 속성, 경관생태학적 형태, 복원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자연환경 훼손의심지역을 탐지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실제 훼손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99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된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총 43개소의 자연환경 훼손의심지역을 파악하였고, 현장조사를 통해 12개소의 실제 훼손지역을 확인하였다. 훼손지역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1) 간선도로와 연접함으로써 도로의 구조 및 시설 등에 의해 개발 가능성이 저하됨에 따라 관리가 미흡해지면서 훼손지역으로 변화된 지역, 2) 개발제한구역 내에 위치하여 토지이용에 대한 각종 제약으로 인해 방치 또는 부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나지, 3) 도로에 의한 접근에 제한이 있어 관리가 미흡해짐에 따라 현재는 방치된 지역, 4) 현재 나지 상태로 합법적으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어 훼손으로 분류되기에 다소 미흡하지만, 자연환경복원이 필요한 훼손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차원에서 자연환경 훼손지역을 파악하는 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지역의 자연환경복원 후보목록 마련 및 우선순위 선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As a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and a means of promoting biodiversity, the Nature Restoration Law is gaining attention both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The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GBF) and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ction Plan (NBSAP) have quantitatively set a goal for nature restoration by 2030, and the first step towards achieving this goal is the identification of degradation. This study thus aimed to identify areas suspected of degradation by considering legal development, land attributes, landscape ecological forms, and restoration possibilities in areas that have been transformed from past natural areas (forests, grasslands, wetlands) to other grasslands and barrens, to conduct field surveys for actual degradation. To achieve this, we analyzed Seongnam City, Gyeonggi Province, where rapid urbanization has occurred since the 1990s, identifying a total of 43 suspected areas of degradation, and confirming 12 actual degraded areas through field surveys. The degraded area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1) areas that have become degraded areas as a result of reduced development potential due to the structure and facilities of the main roads, 2) land that has been neglected or partially used due to various restrictions on land use located within the greenbelt, 3) areas that are currently neglected due to limited access by roads, and 4) areas that are difficult to classify as degraded areas because they are currently being used legally as land, but can be classified as degraded areas where nature restoration is need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a candidate list for nature restoration in the region as well as prioritization of those areas by presenting a framework for identifying degraded areas at the regiona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