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경준(申景濬)의 『장자(莊子)』 독법(讀法)과 『시칙(詩則)』에 담긴 시의식 (The way of reading of Jang - Ja(『莊子』) and poetic awareness in Shi - Chick(『詩則』) from Shin Kyung - Ju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신경준(申景濬)의 『장자(莊子)』 독법(讀法)과 『시칙(詩則)』에 담긴 시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43호 / 169 ~ 198페이지
    · 저자명 : 신익철

    초록

    신경준(申景濬)은 해박한 학문 세계와 함께 일정한 사승 관계가 없이 자득(自得)을 중시했으며, 이단에 관용적이며 기술과 실용을 중시하는 면모를 지닌 점에서 18세기 사상사에서 매우 독특한 위치를 점하는 인물이다. 그의 학문은 소북(小北)의 가학 전통에서 서울 학풍을 소화하여 17세기 이후 북인 계열이 주도해 왔던 박학 풍조, 삼교회통(三敎會通)적인 사상의 맥을 계승한 점이 주목된바 있다. 이 글은 <서장자제물론후(書莊子齊物論後)>와 『시칙(詩則)』의 분석을 통해 신경준 학문관의 독특한 면모를 구체적으로 해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신경준은 제자백가의 사상은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여 나름의 학설을 이룬 것이기에, 폭넓게 수용해서 자신의 식견을 풍부히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다. 이러한 그의 학문관은 『장자․제물론』에 대한 독후감인 <서장자제물론후(書莊子齊物論後)>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신경준은 「제물론」에 등장하는 주요 용어에 부호를 사용하여 구분하며 텍스트를 분석적으로 고찰하여, 천(天)․심(心)․이명(以明)․인시(因是)를 자안(字眼)으로 삼아 핵심 논지를 파악하였다. 신경준은 장자가 천(天)과 심(心), 곧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설정함에 있어서나, 이명(以明, 올바르게 인식함)에 있어서는 유가의 인식 체계와 다르지 않다고 하면서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신경준은 장자의 오류를 인시(因是, 이치에 따라 행동함)의 인(因)에서 찾았는데, 사회적 실천을 방기하는 태도가 여기에서 연유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는 신경준의 장자 비판의 핵심이 장자의 인식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천의 문제에 있음을 말해준다. 장자가 지닌 인식과 실천의 괴리는 천하사를 자신의 직무로 삼는다는 그의 실학적 학문관에 정면으로 배치되기에 신경준은 이를 통렬히 비판했다.
    「시칙』은 체(體)․의(意)․성(聲)의 3요소를 시의 본질로 파악하고 성율을 중시한 시학서인데, 이는 양재(楊載)의 『시법원류(詩法原流)』와 윤춘년(尹春年)의 성률학(聲律學)을 수용한 것이다. 『시칙』에서 신경준의 창견은 시를 인용하면서 자신의 시론을 개진한 부분에 있는데, 인용시에 악부와 고체시가 대다수를 차지하여 주목된다. 신경준은 이백(李白)의 악부시를 대거 인용하며 옛 풍미(風味)를 깊이 깨우쳤다고 하였는데, 이는 그가 시학에서 중시한 고조(古調)와 상통한다. 신경준이 시학에서 강조한 고조는 ‘조선의 풍속과 정조를 전통적 가락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으로, 이는 국토에 대한 애정과 강한 민족의식을 지닌 그의 학문관에 부합되는 시의식이다.

    영어초록

    Shin Kyung-Jun(申景濬) had focused on self-satisfaction in terms of knowledge or studies, without relations between master and pupil. He is very worthy of notice in 18 centuries, because he was tolerate foreign studies and also consider technology and practical use to be the important thing. His study is from the tradition of home-studying of So-Buk(西北) which was a political faction at that time. He succeeded wide knowledge and Sam-Kyo-Heo-Tong(三敎會通) that was the theory of combinati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haracters of Shin Kyung-Jun in studies from the Seo-Jang-Ja-Je-Mul-Lon-Hu(「書莊子齊物論後」) and Shi-Chick(『詩則』) Shin Kyung-Jun regarded Je-Ja-Baek-Ga(諸子百家) that was the theor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as important learning, because it contains the changing times in his thought. It shows in Seo-Jang-Ja-Je-Mul-Lon-Hu that was his book report about Jang-Ja(『莊子』) and Je-Mul-Lon(「齊物論」). He focused on a few words such as ‘sky’, ‘heart’, ‘Lee-Myung(以明)’, ‘In-Si(因是)’ which is epistemology, and ‘enlightenment’, these words makes him understand the theories. He agreed the relation between sky and heart those are nature and human being, and Lee-Myung as well. He found the error in Jang-Ja, it was ‘In-Si’ which is reasonable actions, because he thought that ignore the practice of social things. He strongly criticized Jang-Ja in this sense, because it is against on his practical belief on studies.
    Shi-Chick was the book of poetic studying that emphasis on writing, mind, and sound. It is influenced by Si-Bup-Yeon-Ry((詩法原流))> of Yang-Jae(楊載) and Seong-Rule-Hak(聲律學, Study of Rhythm) of Yun Chun-Yeon(尹春年). In Shi-Chick, Shin Kyung-Jun’s one of the fundamental founding was using the poem to support his work, and these are mostly Ak-Bu poems(樂府詩) that are related with music, and Go-Che poems(古體詩) that is free form style in poem. He was using Lee-Baek(李白)’s Go-Che poems largely, and then he realized the beauty of classic in there. This has a lot of meaning in terms of old tune that he stressed on his book. What he was emphasizing is that old tune stands for the custom of Joseon, and it shows that his study is correspond to the love of country and strong national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