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국어학 연구 맹아기의 지석영과 주시경의 표기·음운·문자 연구의 맥락 (A Study on the Context of discussion about notation, phonemes and letters of Korean language by Ji, Seok-yeong and Ju, Si-gyeong in germinal stage of Present-Korean linguistic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06
40P 미리보기
현대 국어학 연구 맹아기의 지석영과 주시경의 표기·음운·문자 연구의 맥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8호 / 579 ~ 618페이지
    · 저자명 : 이준환

    초록

    이 글은 현대 국어학 연구 맹아기에 이루어진 국어의 표기와 음운과 문자에 관한 논의를 지석영과 주시경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자음, 모음, 운소, 문자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그간 주시경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지석영의 연구에 관심을 두어 살피고 이로써 지석영과 주시경이 보인 표기와 음운과 문자에 관한 논의를 비교하여 그 흐름과 성격을 이해해 보려 하였다. 자음이나 모음에 관해서는 주시경에서 ‘자음’, ‘모음’이란 용어가 사용되어 있으나 조음 음성학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음절의 구성 요소의 의미로 정의가 되어 있다. 자음은 조음 방법 면에서 청탁으로써 소리의 분류와 기술이 이루어졌다. 주시경은 상세한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탁음을 하나의 요소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정의하여 비록 성운학에 온 청탁이란 용어를 쓰고 있지만 개념은 차이를 보임이 눈에 띈다. 모음에서는 합음이란 말을 써서 ‘ㅑ, ㅕ’, ‘ㅐ, ㅔ’, ‘ㅣㅡ의 합음인 ㆍ’ 등을 가리키고 있는데, 이는 소리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문자 사용과 관련한 표기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 결과 이중 모음에서 반모음을 분석하지 못하고 ‘ㅑ, ㅕ’를 ‘ㅣㅏ, ㅣㅓ의 합음’과 같이 보게 되었다. ‘ㆍ’를 ‘ㅣㅡ의 합음’으로 본 것은 화음, 국어의 표기 양상을 두루 고려한 것이나 실제 결론은 ‘ㅑ, ㅕ, ㅛ, ㅠ’와의 관계가 중시된 결과이다. 운소와 관련해서는 지석영이 강조한 높낮이, 장단에 관한 것이 주시경에도 잘 수용되어 주시경은 강약까지 더한 운소에 관한 연구로 이어 갔다. 문자의 사용에서는 국어 표기에는 불필요한 ‘ㆁ, ㆆ, ㅿ, ◊’ 등에 대해서 지석영은 민간 행용 부적당으로 판단하고 있는 반면에 주시경은 그 소리는 있으니 아니 쓸 수가 없다와 같이 기술하여 이 문자들의 정체를 명확히 인식하지 못한 모습을 보인다. 이상의 논의 내용 및 논의 방법을 보면 지석영과 주시경 모두 전통적으로 표기, 음운, 문자를 연구하는 틀에 바탕을 두고 연구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Ji, Seok-yeong and Ju, Si-gyeong’s discussion on the notation, phonemes and letters of Korean language in germinal stage of Present-Korean linguistics. Specifical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consonants, vowels, suprasegmental phonemes and letters, I paid attention to Ji, Seok-yoeng's research, which was relatively less interesting than Ju, Si-gyeong’s and tried to understand the flow and nature of Ji, Seok-young and Ju, Si-gyeong’s discussions on phonology and letters. In terms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terms “consonant” and “vowel” are used in the study of Ju, Si-gyeong but the definition is not made in terms of articulatory phonetics, but is defined as the meaning of the components of syllables. In terms of articulation methods, consonants were classified and described by their clarity and murkyness. Ju, Si-gyeong defines murky sounds as not composed of one element, so although the terms “clear and murky sounds” are used in Chinese phonology, the concepts show a difference. In the vowel, the word “join” is used to refer to ‘ㅑ, ㅕ’, ‘ㅐ, ㅔ’ and ‘ㆍ’ made by combining ‘ㅣ’ and ‘ㅡ’ which are not focused on sound, but on writing related to the use of letters. As a result, a half vowel could not be analyzed in the double vowel and ‘ㅑ’, ‘ㅕ’was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e joint of ‘ㅣㅏ’, ‘ㅣㅓ’. The reason why ‘·’ was regarded as a combination of ‘ㅣ’ and ‘ㅡ’ was given by considering the aspects of Chinese phoneme and Korean notation, but the actual conclusion was obtained by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with ‘ㅑ, ㅕ, ㅛ, ㅠ’. Regarding suprasegmental phonemes, Ji, Seok-yeong emphasized height and rhythm, and these discussions were well received by Ju, Si-gyeong, leading to a study on adding strength and weakness. In the use of letters, Ji, Seok-young judges unnecessary “ㆁ, ㆆ, ㅿ, ◊” in the Korean language notation as inappropriate for civilian use, while Ju, Si-gyeong did not clearly recognize the identity of these letters by describing the sound as present or not.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and the method of discussion show that both Ji, Seok-yeong and Ju, Si-gyeong have traditionally been based on the framework of studying notation, phonemes and le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