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당에게 제사 받은 생불 -요승처경추안(妖僧處瓊推案)을 중심으로- (The Living Buddha Ritualized by a Shaman -Focusing on the State Trial Documents of a Wicked Buddhist Monk, Cheogyo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2.11
29P 미리보기
무당에게 제사 받은 생불 -요승처경추안(妖僧處瓊推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40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최종성

    초록

    17세기 서울 경기 일대의 신도들 사이에서 생불(生佛)로 추앙받던 불승(佛僧) 처경(處瓊, 1652~1676)이 소현세자의 유복자를 자처하며 왕실 및 고위관료들에게 이를 공지할 생각으로 접촉을 시도하다 결국 관에 고변되어 구금되기에 이르렀다. 처경은 종교적 영험성에서 비롯된 생불의 이미지에 만족하지 않고 정치적인 권위(소현세자의 유복자)마저 확보하려다 끝내 심문을 받고 죽음에 이른 비운의 승려였다. 처경사건은 숙종 2년(1676) 11월 1일부터 16일까지 약 보름간 진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과정과 시종이 『요승처경추안(妖僧處瓊推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그대로 실려 있다. 우리는 본 추안자료를 통해 당시 추국관들의 손을 거쳐 기록된 민중들의 육성을 들을 수 있으며, 그 속에서 민중의 신앙적 열망과 욕구는 물론, 저항 및 반란의 담론과 실천을 읽어낼 수 있다.
    1676년 11월 16일 처경은 요망한 글과 말을 지어내 대중을 미혹시켰다는 죄를 받고 용산 당고개에서 처형되었다. 그것으로 추안은 끝이 났지만, 처경사건은 일단락되지 않았다. 그가 죽고 난후 11년이 지난 1687년에 처경은 해주 무당의 신당에 의례의 대상으로 되살아났다. 살아생전에 생불(生佛)로 추앙받던 처경이 죽은 뒤 무당의 제사를 받으며 대중들로부터 영험한 신령으로 거듭나고 있었던 것이다. 처경은 국가로부터 기억을 금지당한 요승(妖僧)일 뿐이었지만, 민중들에게는 잊을 수 없는 생불로 기억되었고,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려는 무당에게는 간과할 수 없는 의례적 자산으로 활용되었다. 해주 무당의 신당이 파괴되고 무당이 절도(絶島)로 유배되는 조처가 내려졌지만, 처경으로 촉발된 생불신앙은 이후 황해도 일대의 민중과 무당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지속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igious life of a Buddhist Monk in the 17th century from the analysis of State Trial Documents of a Wicked Buddhist Monk, Cheogyong(處瓊).
    The monk, Cheogyong, was known to have been a Living Buddha(Saengbul, 生佛) while alive, and was executed on charges of treason against the Yi dynasty. In the strict sense,what drove him to be dead was that he pretended to the posthumous child of the crown prince Sohyun(昭顯). He died in 1676, aged 25, but his religious memory lived on. A shaman of Haeju area enshrined a spirit tablet of the Buddhist monk. She ritualized the dead Saengbul relevantly so that her rituals could be very well-received by many local people. All though her shrine was destroyed by local governors and she was banished to a far-off island, the various cults of Saengbul could continue to renew fervently in Whanghae-Do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