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 이황의 예술과 도학 세계 - “理到”의 意境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A Study on the World of Toegye’s Neo - Confucian and Aesthetical Spirit - the Spiritual Realm of Yido(理到) and Genuine Pleasur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12
40P 미리보기
퇴계 이황의 예술과 도학 세계 - “理到”의 意境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3권 / 101 ~ 140페이지
    · 저자명 : 정도원

    초록

    도학은 인간을 전인적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논의 구조 역시 이성과 감성을 구분하지 않는다. 삶과 예술, 학문이 하나로 어울어진 종합적인 체계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현재는 이를 서구의 이성을 기준으로 한 범주에 따라 해체하고 있다. 본고는 이성적인 분석에 치중하여 서구적 기준에 따라 해체된 도학을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해야 한다고 보고, 이러한 관점에서 퇴계 이황의 천리시와 서예작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내린 본고의 결론은 퇴계의 이러한 예술작품이나 행위가 도학자로서의 일상과 예술이 하나로 일관된 결과이며, 고려말 포은 정몽주로부터 이어지는 보편적 정신사의 일부라는 것이다.
    퇴계의 시나 글씨는 그의 삶과 학문, 예술적 감성 등이 집약된 것이다. 이에는 “이도”로 표현되는 퇴계의 도학적 성과 또는 학문 정수가 녹아있다. 퇴계는 자신의 내면에서 모든 존재에 편재하는 천리와 그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의 순수한 내면은 이 순수한 천리의 발현 결과였다. 그는 또한 대상 혹은 자연에 편재하는 천리를 느끼며 공명하였다. 대상의 천리와 내면의 천리가 하나임을 깨닫는 것, 그리고 둘이 하나 됨에서 느껴지는 자연 혹은 생명에 대한 심미적 경외는 그에게 큰 기쁨을 주었다. 그는 말년에 천리가 도처에서 드러나며 자신의 인식으로 들어오는 것을 느낀다. 이 단계에 이르러 본체와 완전히 하나 됨을 느꼈고, 자연에 노닐며 그리던 이상이 완숙해졌음을 토로하였다. 그러므로 “이도”는 이러한 퇴계의 정신적, 예술적 성숙의 최종 단계가 반영된 표현이었다고 할 수 있다.
    퇴계에 의하면 이러한 기쁨은 스스로의 내면이 도덕적으로 성숙하면서 생긴 결과이다. 그는 일상을 경의 실천으로 일관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연 속에 있으며 “유어예”의 예술 활동을 아울렀다. 그리고 이러한 기쁨을 향유할 수 있는 전인적 자아를 성취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학문(學文)”과 “서법(書法)”을 정심(正心)의 차원에서 논의하면서도, 예술을 도덕 수양의 수단으로만 여기지는 않았다. 그는 예술 행위가 윤리적 성숙을 가능하게 해주고, 윤리적 성숙이 작품과 심미행위에 진실성을 보장해준다고 보았다. 퇴계의 예술은 “지어도(志於道) 거어덕(據於德) 의어인(依於仁) 유어예(游於藝)”이라는 길을 따르는 도학 실천의 결과 혹은 경의 일상에서 정심의 예술을 포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계나 우암은 퇴계의 이러한 세계, 특히 ‘즐거움[樂]’이 궁극적인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들의 도학은 “기발이승”의 일도 구조와 “심시기”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일상 감성을 떠난 본질적인 감성은 따로 있을 수 없으며, 인간의 실천은 이 일반적 일상의 감정을 절도에 맞게 조절하는 것뿐이다. 따라서 이를 벗어난 이발의 감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이 토대에서는 마음을 맑히는[澄心] 공부가 있을 뿐이며, “즐거움”은 이에 따른 깊이의 차이일 수밖에 없었다.
    결국 퇴계는 만물일체적인 측은지심과 같은 이발의 정감과 편재한 리에 대한 인식에서 락이 이루어지고, 사계-우암은 징심의 상태에서 적의한 정감의 발출로서의 중절의 화를 주장하므로 락 또한 이에서 파악될 수 있다고 하겠다. 이는 각자의 철학 혹은 도학에 근거한 것이며, 나름의 내면적 변화가 수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계와 우암의 비판은, 이들이 바라보는 세계가 퇴계의 세계와 일치하지 않아서이며, 일차적으로는 퇴계의 삶과 예술에 대한 미학적 비판이라 하겠지만, 이후 벌어지는 여타의 도학 논쟁과도 다를 바 없는 쟁점을 가지고 있다 하겠다. 사실 도학과 미학의 구분이 따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사상사적인 분석과 예술세계에 대한 분석이 다를 수도 없는 것이다.
    본고가 고려말 포은의 천리시를 분석하여 특징을 구분하고, 이를 기준으로 퇴계의 천리시부터 사계-우암의 비판까지 연속하여 살펴보려는 것도, 이처럼 도학자들의 미학 혹은 예술 세계가 주관적 감성 혹은 심미판단에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천리시란 결국 도학자의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며, 여러 문학적 수사를 넘어서는 보편적 사상성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도학적인 견지에서 고하와 이동을 논할 수도 있고, 동시에 독자의 내면에 강한 영적 감흥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는 서예 또한 같다.
    그러므로 도학적 예술의 역사와 작품, 비판을 사상사와 일관시켜 봄으로써, 우리는 도학자들의 정신세계가 단절된 주관세계가 아닌 소통되는 보편적 세계이며, 이성과 감성을 아우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실 사계와 우암의 이러한 주자학 계승의식과 퇴계비판이 가능하다는 것 자체가 이들 정신세계의 보편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성과 감성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도학적 세계관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계와 우암은 퇴계의 ‘노님’이 궁극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에 상응하는 ‘참된 즐거움’이 무엇인지 구체화시킨 것은 아니다. 우리 역시 이들에 상응하는 정신세계 내지 예술세계를 구축하지 않고서는 이에 대한 입장을 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개인의 “닫힌” 감성의 충돌이 아님은 분명히 알 수 있다. 또한 이 충돌에서 문학 혹은 미학과 철학을 아우르는 정신세계의 모습과 그 사이의 길항도 읽을 수 있다. 그러므로 “미학과 철학을 아우르는 도학”이라는 전제에서의 사상 혹은 미학 검토는 우리가 ‘통일되고 정합적인 삶의 반영으로서의 도학’이라는 원래의 모습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함으로써, 도학 연구의 지평을 보다 넓혀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rying to reconstruct the Neo-Confucianism from Zhu xi’s doctrine(道學) back into its original shape. The Confucianism in Sung-Ming dynasty or Chosun dynasty was the result of holistic learning and practice. Therefore, all results of the Neo-Confucianism from Zhu xi’s doctrine should be searched in this way. The philosophical poetry and calligraphy of Toegye Yi-Hwang can be a model of this case, so I will explore his spiritual realm and the world of art.
    The conclusion of his philosophy is on revelation of the Principle in one’s inner world, and his art was the expression of it. The Omnipresent Principle always permeates human mind, and one can feel it and be one with it. It is the Joy[樂] beyond compare. Toegye’s poetry and calligraphy, especially trained in neo-Confucian category, sang this Joy. It means that he reached and found the world of the self-revealing Principle. He and the Principle are the One. Toegye’s poetry and calligraphy are the evidence of this neo-Confucian and aesthetic experience. His songs are the artistic declaration of this Joy, and his works of calligraphy are the results of his inner world and trace of self-cultivating itinerary.
    Sagye(沙溪 : 金長生) and Uam(尤庵 : 宋時烈) criticized that Toegye’s joy is not the Genuine Pleasure[眞樂], commented by Zhouxi, because they didn’t agree Toegye’s neo-Confucianism. They didn’t believe that the Principle can self-reveal. They asserted like this : ‘The Principle is just principle, it cannot be the omnipotent thing. And human being is just human being. Therefore one should control his feelings, and make his mind calm down to the end. There is no Joy, what Toegye said.’ This was the conflict and controversy of different views of ideal neo-Confucian spiritual world. And it can mean that we can put the artistic worlds of neo-Confucianism to debate, and that is a kind of events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 thought. Of course, it is also a kind of aesthetical theme. So we can discuss Toegye’s poetry and calligraphy in the view of philosophy, and be moved in the point of aesthetics, too. In the point of neo-Confucianism, philosophy and aesthetics are the double-sideness of human being, that is paradoxical but harmonio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