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圓測 『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 __「일체법상품」을 중심으로__ (Significance of the Tibetan Translation of Won-Ch‘uk's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VI Chapter)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9.08
40P 미리보기
圓測 『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 __「일체법상품」을 중심으로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27호 / 207 ~ 246페이지
    · 저자명 : 안성두

    초록

    티벳불전의 번역이 갖는 특징은 9세기 초 칙령으로 확정된 번역용어의 통일에 의해 동일한 산스크리트어가 일관되게 번역되었다는 점에 있다. 본고는 9세기 초반 法成에 의한 원측의 해심밀경소 티벳어 번역의 문제를 다루면서, 번역어 통일이 이루어지기 이전 티벳어 번역의 방식을 관련된 돈황본 해심밀경 티벳역과 티벳장경에 수록된 해심밀경과의 비교를 통해 추적하고자 했다. 비교를 위해 구체적으로 세 판본에 나오는 티벳어의 어휘를 비교했고, 인용된 경전의 문장을 티벳장경의 그것과 비교해서 법성의 번역이 가지는 특징을 제시했다. 끝으로 법성역을 통한 한문본의 교정가능성을 예시했다.

    영어초록

    The most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Tibetan translation consists in the fact that it used the same Tibetan term for the Sanskrit Original, with the result that the consistency of the Tibetan translation could be relatively good preserved. This terminological fixation, owing to the publication of two book, Mahāvyutpatti and sGra sbyor bam po gnyis pa,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9th century CE. through the Royal decree. Through the terminological fixation of Sanskrit into Tibetan, it is possible to make consistent and reliable translations, which has been proved to be a decisive step toward creative assimilation of Indian Buddhism in Tibet.
    It should be also mentioned that the old translations have been revised according to the "New fixation of Buddhist Terminologies", thereby the old terms totally discarded and substituted for the new one. It is hard, therefore, to find out the old usages prevailed before the terminological fixation. It is the very existence of Dunhuang manuscripts that bridges this gap between the old and new translation terms.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there are among the Dunhuang manuscripts some materials translated from the Chinese Texts, which show not only some important aspects of Tibetan translation in Dunhuang area, but they reflect on vivid religious picture around these days in Tibet.
    In order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these sources translated into Tibetan from the Chinese originals, I choose the Tibetan translation of Won-ch'uk's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解深密經疏, hereafter SNST) by Chos grub (法成), probably in the days between 814-824.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of Won-ch'uk's work is that there exist some relevant texts, for example, revised version of Saṃdhinirmocanasūtra in the Peking Kanjur and its Dunhuang version, which is now easily available through Hakamaya edition. Compared with each other, it is assumed that the problem of on what version SNST's terminologies is based can be substantially solved.
    The present paper has examined some relevant researches in the field, then, proceeded to the wording of the colophon, given at the end of the SNST, thereby intending to discuss and find out some clues about the translator, Chos grub. At the next step this paper compares the terms of SNST with that of two versions of SNS in order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Chos grub's translation. And, in order to indicate the reliance of SNST on the new fixed terminology, I particularly examine the terms in the VI. chapter of SNS and pointed out its dependance upon the "New Fixation of Buddhist Terminology". The examination of the passage is extended to the text citations in SNST. The number of the citation is over 108, and I chose 9 citation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cited passages with the corresponding one in the Tibetan Tanjur. My tentative conclusion is that it seems to be two strata in Chos grub's translation; when he translated the passage connected with the Indian materials, his terminology is relatively similar with the terms in the Tibetan Tanjur. But as far as the passages of Won-ch'uk's interpretation are concerned, Chos grub is leaning to the Word-to-word translation.
    Lastly, I try to emend some errors found in the Korean Edition (= HD) with the help of Chos grub's translation, and want to demonstrate that it be the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