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義寂의 『法華經』 이해 - 『法華經論述記』 분석을 중심으로 (On Uijeok’s Interpretation of the Lotus Sutra ─With Particular Focus on an Analysis of the Beophwagyeongronsulgi)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8.12
42P 미리보기
新羅 義寂의 『法華經』 이해 - 『法華經論述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21권 / 177 ~ 218페이지
    · 저자명 : 박광연

    초록

    본고에서는 『韓國佛敎全書』 권2에 실려 있는 『法華經論述記』를 분석하여 義寂의 사상 경향 및 『법화경』이해를 살펴보았다.
    의적은 7세기 후반 8세기 초에 활동한 唯識 승려이다. 그런데 『법화경론술기』를 보면, 의적이 『화엄경』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었고 의상이 소개한 화엄사상에 대해서도 주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의적을 華嚴 승려라고 할 수는 없지만, 고려시대의 의적에 대한 일련의 기록이 화엄종과 관련해서 나오는 것을 단순히 고려시대 華嚴宗의 종파성 때문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의적은 玄奘의 제자이지만 慈恩과는 다른 견해를 지녔음이 이미 밝혀졌다. 『법화경론술기』에서도 그러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趣寂聲聞의 성불 가능성을 언급한다거나 眞諦의 三法輪説을 인용하는 방법으로 慈恩을 간접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그렇지만 修行과 관련해서는 慈恩의 견해를 많이 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成唯識論』이나 『瑜伽師地論』 등의 유식 논서도 적극 인용하는 모습에서 유식 승려로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의적의 『법화경』 이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의적은 『法華經論』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법화경』을 독자적으로 해석하였다. 의적이 『법화경론』을 강의하고, 『법화경』 설법 듣는 것을 강조한 것은 多聞薰習으로 善根을 쌓는 것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라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의적의 一乘觀도 독자적임을 밝혔다. 의적은 『법화경론』에 나오는 ‘十種無上’이 바로 일승이라고 하였다. 나아가 이 一乘 이해를 보살의 수행단계인 十地와 연결시켜 8地 이상의 획득을 강조하고 있다.
    의적은 『법화경』 설법을 들음으로써 생기는 변화에 주목하였다. 『법화경』의 聽聞으로 열반의 상태를 맞볼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법화경』의 청문이 수행에 다름 아니라는 의적의 인식, 그리고 때가 되기를 기다려주는 열린 자세는 전쟁 후유증에 시달리던 7세기 후반 신라 사람들에게 의미 있게 다가갔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Uijeok’s(義寂) ideology. It is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Beophwagyeongronsulgi (法華經
    論述記) in the second volume of the Hangukbulgyojeonseo (韓
    國佛敎全書).
    Uijeok is a Fa-xiang scholar, who was activ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8th
    century. It has been already known that Uijeok held a
    different view from that of Jaeun(慈恩), although he was
    a disciple of Hyeonjang(玄奘). This can be seen as well in
    the Beophwagyeongronsulgi . Uijeok mentions a possibility
    of entering nirvāna for the “Chwijeokseongmun” 趣寂聲
    聞) and quoting “Sambeopryunseol” (the theory of three
    enlightenments and sermons for Buddhists; 三法輪説) by Jinje
    (眞諦), which criticizes Jaeun in an indirect way. However,
    he mostly follows Jaeun’s opinions with regard to ascetic exercises. In addition, his quotations from the Fa-xiang
    theses, e.g. the Seongyusikron (成唯識論), the Yugasajiron(瑜
    伽師地論), also reveal that he was a Fa-xiang scholar.
    Based on the deep insights into the Beophwagyeongron
    (法華經論) , Uijeok interpreted the Lotus Sutra . In
    particular, his rendition of ilseung(一乘) is unique. He
    calls “Sipjongmusang” (ten kinds of excellence; 十種
    無上) ilseung, as it were. Furthermore, he relates the
    understanding of ilseung with sipji (dasa-bhumi; 十地), the
    steps of Bodhisattva’s self-discipline, and emphasizes the
    attainment of its eight steps or higher.
    Uijeok pays attention to the change made by listening to
    the teachings of the Lotus Sutra . He argues that one can
    experience Buddhahood by listening to it. His understanding
    that listening to the Lotus Sutra was not incommensurable
    with the practice of asceticism-along with his open mind
    and patient fortitude-were qualities which the Silla people
    in the late 7th century, suffering, as they were, from the
    aftermaths of too many wars, found approachable and
    accommoda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