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원상과 옥추경 상관성 연구 : 불연 소장본 『옥경해 초』 분석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Ilwonsang and Okchukyu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9
38P 미리보기
일원상과 옥추경 상관성 연구 : 불연 소장본 『옥경해 초』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5호 / 37 ~ 7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재

    초록

    『옥경해 합부』 - 『옥경해 초』 - 『옥추보경』으로 이어지는 불법연구회 소장본을 살피다 보면 본문 이외의 여러 표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십인 일단 단조직을 전제한 것이었다. 그런데 옥경해 초에 보이는 원상들이 가지는 의미는 단순한 표시가 아니었음이 드러났다. 『옥경해 초』와 『옥추보경』에 표시된 팔괘와 단조직 표시는 서로 다른 순으로 배열되어있다(표2 참조). 팔괘의 순으로 정리된 마지막 『옥추보경』으로 확정되기 전의 모습으로 『옥경해 초』를이해할 수 있고, 이는 단조직의 기획단계를 보여주는 자료다.
    단조직 결성은 단박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옥경해 합부』에서 『옥경해초』와 『옥추보경』에 이르기까지 팔괘를 기초로 한 ‘〇’원상, 장(長)과 중앙(中 央)의 배정과정으로 이어져 마지막 십인일단의 결과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주목된 것은 『옥경해 초』에 새겨진 원상에 대한 것들이다.
    원불교는 그 상징이 일원상인바, 『옥경해 초』에 이 원상들이 다수 나타난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 원상이 표시된 경의 각 부분을 검토하면 진리의 당체를설명하고 있음이 밝혀짐은 물론, ‘장’에 해당되는 부분이 원상으로 표시되어있어서 소태산 당체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언어명상을 떠나서 표시된원상은 구인기도의 실천 단계에서 장의 이름으로 이어졌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원상에서 장으로의 진화는 진리에서 장으로의 의미 이외에 진리에서 집단으로의 해석도 가능함을 살폈다

    영어초록

    If you look at the collections of the Bulpop-Research Society(불법연구회), which lead to Ok Gyeonghae Hapbu-』-Ok ChuboGyeong, you can see that there were various indications other than the original text. These were the premise of a group of ten people(십인일단).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meaning of the original images in Okgyeonghaecho was not a simple indication.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was no discussion on this. This is because all the journeys that proclaim Irwonsang jinri(일원상진리) and lead to Popinjeol(법인절) and even Irwonsang jinri are incorporated in this one book Okkyunghae Hapbu is a book that combines Embukyung and Okchugyeong.
    The mark of Palgwae(팔괘) and Dan-organization(단조직), which was not here, was first planned and seen in Okkyunghaecho.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a process in which it was settled in Okchubogyeong. In Okgyeonghaech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heavenly view was displayed in its original form, and later in Okchubogyeong, it was confirmed as a unitary structure of the Palgwea(팔괘) and the center(중앙), starting with 'jangil'(장일). In other words, it used the official name of 'Director'. Palgwea(팔괘) and Dan-organization(단조직) marks in Okkyunghaecho and Okchubogyeong are arranged in different order (see Table 3).
    This is the data showing the planning stage of the organization. The formation of the Dan organization was not achieved at once, but the result of a group of eleven people leading to the process of allocating a '〇' circle based on the Palgwae(팔괘), from Okkyunghae Hapbu to Okkyunghaecho and Okchubogyeong There was a process of getting it. In this process, attention was paid to the original image engraved in Okkyunghaecho.
    The symbol of Won Buddhism is the Ilwon Sang, so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many of these statues appeared in Okkyunghaecho. Examining each part of the book in which the original image was displayed, it was revealed that it was explaining the substance of truth, and 'jang(장)' was interpreted as a symbol of Sotaesan itself. It can be seen that the original image displayed beyond verbal meditation was followed by the name of “jang” in Gu In Prayer(구인기도). In addition, it was examined that the evolution from the original to the 'jang' can be interpreted as a group from truth in addition to the evolutionary meaning from truth to chapter. The stage of organizing the initial organization and the unified manifestation show the sequence of work.
    In other words, it was examined that the emphasis on the Palgwea(팔괘) and the revealing of the unity were sequentially followed.
    In addition to the symbolic meanings of enlightenment and truth, and the Illegal Research Association, the meaning of Geumsansa Temple was considered to have more meaning to declare the enemy of Gang Jeungsan(강증산).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