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화경 상불경보살의 예배행의 사상적 연원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Ideological Origin of the Worship Practice of the Sadāparibhūta Bodhisattva in the Lotus Sūtr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2.10
23P 미리보기
법화경 상불경보살의 예배행의 사상적 연원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리뷰 / 32호 / 9 ~ 31페이지
    · 저자명 : 하영수

    초록

    예배행과 성불 수기로 유명한 상불경보살(常不輕菩薩)은 법화 일승 사상의 실천을 상징하는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의 몇몇 연구에서는 경전에 상불경의 예배행과 법화경의 관계가 명료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근거로, 이 보살의 실천이 법화경과 무관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문제를 검토하였다.
    필자의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법화경 에서는 붓다 교화의 전형성이 반복적으로 설해진다. 그 전형성은 ‘여래의 출현 → 방편 교화 → 법화 일승의 설법 → 열반’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붓다 교화의 전형성은 경전 전체에 일관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제1서품」과 「제19상불경보살품」의 두 과거불에 대한 서술 방식과 설법 경문의 유사성은 법화경이 일종의 수미쌍관(首尾雙關)식 구성을 채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상불경보살의 행동 양식은 이 경전에서 설하는 수희자의 행동 양식과 매우 유사하며, 무불(無佛) 시대에도 모든 중생이 성불할 수 있다고 전파한 그의 수기는 「법사품」의 구절과 내용적으로 상통한다.
    이상의 논점에 의거하여 필자는 상불경보살의 예화가 법화경과 무관한 인물의 이야기가 아니라, 법화의 수희자가 그 실천의 공덕을 통해 대법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이해는 「제17수희공덕품」에서 「제18법사공덕품」, 그리고 「제19상불경보살품」으로 이어지는 경전의 구성에도 부합한다.

    영어초록

    The Sadāparibhūta (Never Disparaging) Bodhisattva, famous for his worship practices and prophecy on the Buddhahood for everyone, is widely known as a figure who symbolizes the practice of the idea of the One Vehicle of the Lotus Sūtra. However, some recent studies have argued that this Bodhisattva’s worship practices and prophecy have nothing to do with the Lotus Sūtra,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is no textual support that the Buddha, who reigned during his time, preached the Lotus Sūtra. Therefore, I reviewed this issue in this paper.
    My poin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otus Sūtra, the typicality of Buddha’s edification is repeatedly stated. Its typicality can be summarized as the appearance of Buddha → edification by means of the expedient → preaching of the One Vehicle → entering final nirvāna. It is reasonable to view this typicality as consistent throughout the Lotus Sūtra. Seco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narrative method and the sermons of the two past Buddhas in chapter 1 and chapter 19 shows that the Lotus Sūtra has a consistent structure. Third,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is Bodhisattva are very similar to that of a person who joyfully accepted this Sūtra, and his prophecy, in which he preached that all sentient beings can attain the Buddhahood (even in the period when the Buddha did not exist), coincides in content with the phrase in chapter.10 “The Preacher”.
    Based on the above points, I revealed that the story of the Sadāparibhūta is not one of a person unrelated to the Lotus Sūtra, but rather shows the process of a practitioner, who accepts the Lotus Sūtra with a joyful mind, and grows into a great preacher through the merits of his practices. This understanding is consistent with the composition of the Lotus Sūtra reflected in chapter.17 “The Merits of Joyful Acceptance”, chapter.18 “The Advantages of a Religious Preacher”, and chapter.19 “The Sadāparibhū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