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측의 『해심밀경소』에 나타난 알라야식의 해석과 그 특색 (Interpretation of the Ālayavijñāna in Wonchuk's Commentary on Samdhinirmocanasūtr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08
36P 미리보기
원측의 『해심밀경소』에 나타난 알라야식의 해석과 그 특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35호 / 43 ~ 78페이지
    · 저자명 : 안성두

    초록

    이 논문은 원측의 알라야식 해석의 특징을 원측의 논서에 의거하여 그 논의맥락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주로 그의 『해심밀경소』에서 「심의식상품」 주석의 설명을 중심으로 해서 원측의 청변과 보리류지 및 진제의 식설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주로 다루었다. 청변의 식설은 포용적으로 다루어지며, 보리유지의 경우도 큰 비판없이 포용적인 태도로 다루고 있다. 반면 원측은 진제의 식설을 여섯 가지 점으로 구분하면서 매우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진제에 대한 강한 비판은 당시 진제의 이론이 현장의 유식학이 극복하고자 했던 잘못된 유식설로서 취급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은 진제가 하나의 진여(一眞如)에 대해 삼성을 제거함에 의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삼무자성을 긍정하고 또 독립된 원리로서 삼무성을 一無性理로서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며, 이는 相을 떠난 性을 인정하는, 다시 말해 연기하는 사태를 떠나 연기의 원리를 세우려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resent paper, basing 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ālayavijñāna found mainly in Wonchuk's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deals with the problems, what are the main differences of the philosophical standpoint of Wonchuk(圓測) from other representatives of rivaling schools, for example, Bhāvaviveka(淸辨) of the Mādhyamika school, Bodhiruci(菩提留支) of the Daśabhūmika schoo(地論宗), and particularly the great Indian translator Paramārtha(眞諦) of the Mahāyāsaṃgraha School(攝論宗). In his commentaries, Wonchuk sees no problem to accept and to evaluate the interpretations of the first two masters positively. My own impression is that the positive evaluation migh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ir Indian origin. However, with regard to the theory of amala-vijñāna suggested by Paramārtha, he criticized very hardly Paramārtha's viewpoint on this kind of the ninth Pure Consciousness in six points. His criticism toward Paramārtha shows that the theory of amala-vijñāna is not at all to be accepted by or to be harmonized with the established theories of his own school.
    The reason why the amala-vijñāna is totally negated by him is that it would lead to the acceptance of independent existence of the Thusness(tathatā) apart from the phenomenal things. In so doing, Paramārtha seems to recognize the Triniḥsvabhāvatā as an ontological principle of the Nature of Selflessness(一無性理), which exists in its own right. This principle can be established by way of negating the Self-nature. However, this kind of self-existence of an ontological principle would be equivalent to the attitude, which asserts the existence of the Thing-ness without concrete phenonen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