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別行疏』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A Philological Study on Dafangguangfohuayanjing Rubusiyijietuojingjie Puxianxingyuanpin Biexingshu)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別行疏』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2호 / 189 ~ 221페이지
    · 저자명 : 임윤경

    초록

    동아시아 불교 신행에 있어서 『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 品』의 십종행원은 중요한 수행방편과 사상으로 알려져 있다. 십종행원은 독립된 별행경 『보현행원품』으로 유통되었고 주석서로는 유일하게 징관의 『大 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別行疏』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별행소』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고 생각된다. 특히 『별행소』의 제본현황이나 제본간의 비교분석은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본 논문은 문헌학적인 접근으로 현존하고 있는 『별행소』의 제본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문헌들과의 교감을 통해 계통도를 밝혀보았다.
    현존하는 제본 가운데 확인한 『별행소』는 일본의 담예 필사본, 한국의 고려시대 목판본, 조선시대 목판본 그리고 명득이 교정한 중국의 가흥대장경에입장되어 있는 본 등이다. 또한 종밀의 『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別行疏鈔』 (6권)와 징관의 『華嚴經行願品疏』(10권)의 제본도 참조하여 교감하였다.
    그리고 그 교감 결과를 구성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별행소』의 가설적인 계통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담예의 필사본과 고려시대 목판본이 같은 계열로 보이며 가흥대장경본과 조선시대본이 동일한 본임을 알 수 있었다. 시기적으로는 담예의 필사본과 고려목판본이 가흥대장경본보다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에서 고본이 유통되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가흥대장경본 계열로 바뀌어 유통되어져 오는 것은 특이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East Asian Buddhist faith and practice, the ten practices and vows presented in Dafangguangfohuayanjing Rubusiyijietuojingjie Puxianxingyuanpin (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hereafter DRP)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trines. This text has also been circulated separately from DRP as an independent sūtra (hereafter PX), and there is only one commentary on PX by Chengguan (澄觀) (別行疏, hereafter PXC). In spite of its value, research on PXC has been inadequate up till now. This paper aims at figuring out the present status of PXC manuscripts and xylographs and trying to make a stemma of PXC by comparing its various manuscripts/xylographs.
    Among the extant manuscripts/xylographs of PXC, I examined the following: ① a manuscript written by Tanei (湛睿, 1271~1346), Japan ② a xylograph printed in the Koryo dynasty, Korea ③ a xylograph printed in the Chosun dynasty, Korea ④ a xylograph included in Jiaxing dazangjing from Ming China Regarding PXC, there is a commentary on PXC written by Zongmi (宗密) and a commentary on DRP written by Chengguan, the latter of which has many parts similar to PXC. I also used both to compare all the above manuscripts/xylographs (①-④) of PXC.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 of all editions of PXC, I made a preliminary stemma of PXC. According to this stemma, it seems that among the manuscripts/xylographs, ① and ② are included in a same lineage while ③ and ④ are similar. It is remarkable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 manuscripts/xylographs of PXC between the Koryo and Chosun dynasties and that afterward, the Chosun dynasty version began to be circulated as the main text up to the present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